수학능력시험(수리·탐구·영어)(새 대입제도 허와 실: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학률·도형 등 기본개념 이해력 요구/수리/과학·사회분야 정보분석 기능 측정/탐구/의사소통능력 평가문제 많이 출제/영어
수리·탐구시험은 대학교육을 받는데 요구되는 수리 및 탐구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한다.
영어시험은 대학교육에 필요한 영어능력을 측정키 위해 고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수준과 내용에 맞춰 출제되는 발전된 형태의 학력고사라 할 수 있다.
◇수리=대수·해석·기하·확률·통계분야를 중·고교에서 학습하면서 길러진 능력을 평가한다.
수와 식,집합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연산법칙 활용방법,행렬을 이용한 연립방정식 풀이능력을 측정하게 된다.
유리함수·무리함수·지수함수·로그함수·삼각함수의 성질을 알고 있는가,다항함수의 정적분을 이용해 도형의 넓이·부피 등을 구할 수 있는가 등을 측정하는 문항이 출제된다.
이밖에 좌표평면과 도형의 이동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순열·조합·확률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가를 측정한다.

<예시> 1.반지름이 2㎝인 원구의 무게가 3g이면 같은 물질로 된 반지름 4㎝인 원구의 무게는 얼마인가? ①6g ②9g ③12g ④24g ⑤36g

<예시> 2.어느 마을의 남녀전체의 평균 나이가 45세이다. 이 마을 남자의 평균나이가 50세이고 여자의 평균 나이가 40세일때 남자와 여자의 수의 비는? ①1대 1 ②2대 1 ③1대 2 ④3대 1 ⑤1대 3
◇탐구=과학분야와 사회분야로 나눠 출제한다. 과학분야에서는 과학문제 포착과 정보수집,관찰 실험계획과 자료수집,자료나 정보의 이용과 분석,가설검증과 종합적인 판단 등 단계적인 탐구능력을 측정한다.
사회분야에서는 주어진 자료속에 나타나는 사회문제의 핵심내용을 파악하고 지적하며 중요한 정보와 그렇지않은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 많이 제시된다.
잘 주어진 자료에서 제기되는 가치문제,특히 가치 갈등상황속에서 의사결정문제와 관련되는 가치의 성격을 명확하게 밝혀낼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문제도 출제된다.

<예시> 3.역사적 인물의 일상적 활동상황은 물론 개인적인 충정,갈등까지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는? ①제왕운기 ②계백료서 ③난중일기 ④이조실록 ⑤삼국유사

<예시> 4.보기중 우리가 지니고 있는 가치관에 근거한 행동은? 보기,㉮삶의 해석 ㉯신문기사의 진위확인 ㉰추상적인 개념의 뜻 ㉱물건의 구입 ①가·나 ②나·다 ③다·라 ④가·다 ⑤가·라

<예시> 5.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체제의 정통성을 주장할 경우 가장 설득력있는 근거는? ①체제구성원들의 생활수준 ②인간의 보편적 원리이행 ③이데올로기적 우월성 ④체제기능의 효율성 ⑤역사와 전통
탐구영역에서는 문제파악,실험,가설설정과 검증,결론도출 등 탐구의 단계적 기능을 측정하되 몇개의 탐구기능을 복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이 많이 제시된다. 배점비율은 기본개념이해력 30%,문제해결력 40%,탐구사고력 30% 등이다.
◇영어=어휘,문법,읽기(독해),듣기,작문,회화능력을 시험한다.
문학·자연과학·사회과학·예체능분야의 소재를 활용해 단어와 숙어에 대한 지식,문장구조와 표현문제에 관한 이해능력과 활용능력,영어문장에 대한 사실적·추론적·비판적 이해력을 측정하게 된다.
대학입시를 위해 중·고교에서 문자언어만을 치중한 영어교육을 받음으로써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독해부분의 지문은 교과서 뿐만 아니라 신문·잡지·광고·소설 등 실생활에서 다양하게 접촉하는 책자에서 제시된다.
듣기문제는 일반대화나 강의 뿐만 아니라 방송언어·전화대화 등 다양한 구어체에 대한 청취능력을 평가한다. 작문과 회화문제도 일기·편지·연구보고서·법정문서·강의·연설문 등을 소재로 해 출제된다. 배점비율은 독해력 60%,청취력 10%,작문력 10%,문법판단력 15% 등이다.

<예시> 6.다음 문항의 괄호에 알맞는 것은? I was speaking to Mary on the phone when suddenly we were(). ①hung up ②run out ③broken down ④ cut off ⑤called off
중앙교육평가원은 『수리·탐구시험은 예리한 통찰력으로 빨리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복잡한 공식을 이용,풀려고 노력하지 말고 모르면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이 유리하며 영어영역에서는 평소 여러종류의 문장을 많이 읽는 것이 고득점의 지름길』이라고 조언한다.<도성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