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통합교과형 수리논술은…

중앙일보

입력

2008학년도부터 통합교과형 논·구술 시대다. 수학원리도 언어·사회 등과 통합돼 출제될 것이다. 특히 자연계 논술에서는 수리와 과학적 개념이 혼합된 통합교과형 논술이 나올 것이다.
그러면 수학적 원리를 어떻게 언어 논술처럼 논리적 사고력을 갖춰 표현할 수 있을까.
2008학년도부터 수학원리도 통합형으로 출제되겠지만 편의상 수학적 원리를 글로 쓴다는 의미에서 '수리논술'로 이름붙여 설명해 본다.
고교생 뿐만 아니라 중학생도 수리논술에 대해 관심이 많다. 수리논술을 공부해 놓으면 대입은 물론 창의사고력을 요구하는 특목고 입시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준비기간이 아직 여유가 있는데도 관심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시간 대비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선 수리논술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수리논술은 수학 원리와 논리적 사고력을 활용해 글로 서술하는 방식이다. 더 쉽게 말해 쓰는 수학이다. 정확히 말하면 교과 수학처럼 정해진 답은 없다.
그러나 도형·그래프나 수식을 글에 덧붙여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필요하면 얼마든지 그림을 활용할 수 있지만 그림만으로 표현해선 안 되며 언어 논술처럼 논리적 사고력을 갖춰 글로 표현해야 한다.

# 수리논술 시작도 교과서
교과를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계산능력이나 공식에 치중하기보다 수학의 기본 원리·개념을 꿰뚫고 있어야 한다.
무조건 수리논술 문제집을 구입할 것이 아니라 쉬운 계산식부터 문장으로 표현해 보자. 수학적 원리를 직접 증명해 보고 교과서와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교과서를 넘나드는 사고력 요구
과학 현상이나 사회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올해 이슈화된 문제가 반드시 출제되는 것도 아니고 2년 전 문제라고 제외될 리 없다. 초중생이 벌써 대학별 기출문제를 봐 둘 필요는 없지만 논술형식이나 실제 답안 형식이 어떤지 참고해 두는 편이 좋다. 때로는 사회·환경 문제처럼 뻔한 답안이 요구되는 문제가 출제될 수도 있다. 무조건 어려운 주제를 던져주고 난해한 답을 얻기보다 는 얼마나 창의력을 발휘할 것인가를 평가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평소 신문 읽기를 즐겨 하자. 신문 읽기도 요령이 있다. 관심 있는 분야를 정해두고 매일 읽으면서 신문에 익숙해진 후 점차 주제 찾기, 같은 주제로 글 써보기로 확장하면 좋다. 자연 현상이나 경제 관련 기사를 활용하면 좋다.

# 글쓰기도 습관
처음부터 무조건 신문으로 글 쓰기를 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 수리논술 주제를 찾기도, 내용을 전개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학년이나 수준에 맞는 수리논술 문제는 매일 1문제씩 직접 작성해 보자. 기본적인 것들은 교사나 학원 등의 도움을 받아도 된다.
작성법이나 문법 등 기본적인 요령은 미리 숙지해 습관화하자. 그러나 학원에 너무 의지하면 답안 형태가 모두 비슷해져 사고력이 오히려 제한될 수 있으므로 학원은 가이드를 제시해 주는 곳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수리논술도 오답노트가 필요하다. 전개 방식엔 정답이 없다. 여러 방향으로 생각해 보는 수정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른 방향으로 작성해 보고, 비유, 첨부 자료, 전개상의 문제점을 계속 확인하면서 반복 수정하는 것이다.

프리미엄 김관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