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논란 심한 4곳 현장을 가다|서산-"어장 황폐화" 보상 싸움 2라운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서산 간척 사업=현대건설이 시행한 충남 서산 A· B지구 간척 사업은 개발이 가져온 환경 훼손과 그 후유증을 알게 해 주는 대표적 사례의 하나다.
82년4월 현대건설이 기계화 농경 단지로 활용하기 위해 천수만 일대 1만5천여km의 공유수면 매립 공사를 시작하면서 비롯된 어민들과의 보상 줄다리기가 9년째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86년에 끝난 대단위 매립 사업으로 이 지역 해안의 수중 생태계에는 큰 변화가 초래됐다. 수온·수질의 변화에 조류의 방향·속도가 달라지는 등 환경 변화로 굴·미역·조개·홍합 등이 서식처를 잃었고 특히 김 양식장의 피해가 컸다. 현대 측이 매립지에 농사를 지음으로 해서 농약에 의한 수질 오염 문제도 생겼다.
어민들에 따르면 연간 60억원 어치를 생산해 일본에 수출하던 새조개의 경우 87년부터 생산량이 줄어 올해에는 15억원 어치 밖에 수출하지 못했다.
현대와 어민들간의 보상 협상은 4년 만인 86년5월에 일단 합의를 보았다.
당시 현대 측은 어장 허가권과 김 양식 피해 보상으로 서산·홍성·태안·보령군 등 4개군 6천6백11가구의 어민에게 87억6천여만원을 지급했다.
그러나 곧 어민들이 이 협상에 이의를 제기, 추가 보상을 요구하고 나섬으로써 양측의 승강이는 2회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어민들은 전남 광양만과 인근 대산 지구의 개발 때 김 양식 피해 보상이 책 당 75만∼90만원 선에서 이루어졌으나 서산에서는 25만원 선에서 결정된 것은 형평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또 인근에서의 어업 행위가 계속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방조제 건설이후 실제로 어업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자연 어장에서 조업했던 방조제 내측 어민들에게도 생계 대책비를 보상해야한다는 것이다.
어민들은 당초 1천2백억원의 추가 보상을 요구했다가 지난해 12월22일의 성명에서 3백38억원으로 조정, 91년1월20일까지 지급할 것을 촉구했으나 현대 측은 아직 답변이 없다.
어민들은 성명에서 『추가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2의 안면도 사태도 불사하겠다』며 『유엔 인권 위원회에도 청원을 내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이에 대해 현대 측은 합법적인 절차에 따라 보상이 매듭지어졌을 뿐 아니라 어장이 전면 폐장돼 이주 대책비까지 지급된 광양만이나 대산 지구와 이곳을 비교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보상 시비가 장기화되면서 천수만의 생태계 변화에 대처하려는 어민들의 자립의욕이 식어가는 등 부작용 또한 커지고 있다. 【서산=박상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