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지구 특혜 일파만파/김석현 사회부기자(취재일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수서지구 택지특별공급결정 보도가 나간 22일부터 서울시청은 항의전화와 집단민원의 홍수를 이루고 있다. 『도대체 특혜를 준 이유가 뭐냐』는 질책으로 시장실등의 전화통에 불이 나고 25일까지 6건 2백여명의 민원인들이 몰려 북새통이다.
같은 수서지구의 것이 이중 3건으로 『아파트입주권대신 땅을 보상하라』는 지구내 가옥주들과 『입주권을 내놓으라』는 무자격가옥주(2주택 소유주등)등 80여명.
25일엔 청약저축 가입자 70여명이 『특별공급 철회』를 요구하며 3시간 동안 농성을 벌였고 이날 중랑구청서 열린 신내택지지구 1차 보상심의회의에 참석한 주민대표들은 구청·도시개발공사측에 『수서와 맞먹는 혜택』을 요구,심상찮은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밖에 상계2지구에서 자신들을 제외시켜 달라거나 준주거지를 주거지역으로 바꿔달라는 민원인들도 하나같이 『누군 해주면서…』라는 비아냥성 논리를 폈다.
올들어 이제껏 한건도 집단민원이 없던 것을 감안하면 「수서결정」이 이들에게 미친 심리적 영향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시장실앞 복도까지 몰려가 구호를 외치는 이들 모습에서 박세직 시장은 「시정의 어려움」을 이제야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그 느낌은 「비대해질대로 비대해진 서울시의 시장은 결코 손이 커선 안된다」는 것이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어떤 결정도 이해가 다른 양면의 민원이 따르며,그러기에 사소한 일도 요모조모를 따져야 하고 결코 원칙을 벗어나선 안된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점에서 이번 결정은 전면철회 또는 최소한 무자격조합원을 철저히 가려내는 재수술이 있어야 하리라 본다.
또 관계자들을 통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이른바 「외압」부분도 철저히 규명돼 의혹이 풀려야할 것이다.
『이번 결정만큼은 시장의 운신의 폭도 비좁았다』는 후문은 결국 서울시장의 능력은 온갖 외압과 청탁의 바람막이역할을 얼마나 잘해내느냐에 있다는 말도 된다.
전임 고건 시장이 이임사에서 『숱한 외부압력에 굴하지않은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강조한 점은 그래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