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책 경계는 AI와 함께…관물대엔 보습크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신세대 장병이 지키는 최전방

철책을 따라 경계 작전을 수행하는 육군 5사단 일반전초(GOP) 병사. [사진 육군]

철책을 따라 경계 작전을 수행하는 육군 5사단 일반전초(GOP) 병사. [사진 육군]

북한과 철책을 사이에 둔 일반전초(GOP)가 있는 경기도 연천군 소재 육군 5사단 예하부대. 22일 오전 찾은 최전방 철책 너머 비무장지대(DMZ)에는 짙은 안개가 깔려 있었다. 군이 바짝 긴장하는 ‘악(惡)시정’의 날, 멀리 군사분계선(MDL) 북쪽으로 북한군 최전방 감시초소(GP)가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대대 지휘통제실 관측소(OP)에 올라 망원경으로 보니 인공기 아래 분주히 오가는 북한 병사 서너 명이 눈에 띄었다. 일부는 망루에 올라 경계를 하고 있었다. 취재진과 동행한 5사단 관계자는 “지형에 기상까지 더해 적의 움직임이 잘 포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경계심이 더욱 올라가는 날”이라고 말했다.

이 지역은 6·25전쟁 때 피의 전투가 벌어졌던 화살머리고지와 백마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철통 경계는 달라지지 않았지만, 경계작전은 진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도입된 게 대표적이다. 우리 측(남방한계선) 철책선에선 북한군 움직임을 과학화 장비로 포착·분석하고 있었다. 이 부대에선 수풀 투과형(FP) 레이더, 이동식 레일 로봇 카메라, AI 열영상감시장비(TOD) 등 과학화 경계 전력 ‘3종 세트’를 시범 운용한다.

철책 주변에서 사람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AI가 식별·통지하는 레일 로봇 카메라. [사진 육군]

철책 주변에서 사람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AI가 식별·통지하는 레일 로봇 카메라. [사진 육군]

FR 레이더는 저주파로 수풀을 투과해 차폐된 지역 탐지가 가능하다. 레일 로봇은 사람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AI가 식별해 통지한다. AI TOD도 사람·동물 표적을 AI 알고리즘을 통해 알려준다. 철책에 이중으로 설치된 광섬유망 역시 사람이 감지할 수 없는 바람이나 작은 동물들의 건드림까지 포착한다. 병력 감소로 발생할 수 있는 감시 공백을 첨단 기술로 대체하는 ‘AI 철책’의 일환이다. 〈중앙일보 1월 10일자 1면〉

군 관계자는 “AI 장비도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은 사람 손이 더 많이 간다”고 말했다. TOD, 레이더 영상 등 수백만 건의 데이터가 쌓이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해야 제 기능을 할 수 있다. AI TOD의 경우 현재 운용병의 감시 보조 수단으로만 활용한다. DMZ 내 추진 철책 점검도 하루 한 차례 장병들이 직접 한다. 해당 GOP를 관할하는 손영주 대대장(중령)은 “결국 작전을 종결짓는 핵심은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최전방 병영 생활도 ‘MZ(2030 세대) 맞춤형’으로 바뀌고 있다. 각 병사의 관물대엔 집게식 스탠드와 함께 토너·보습크림·영양제가 빼곡했다. 어학·자격증 관련 서적들도 꽂혀 있었다. 뷰티·건강·자기계발을 중시하는 병사들의 필수 아이템들이다.

생활관 벽면 멀티탭에는 아이폰·갤럭시 스마트폰 충전기가 빽빽하게 꽂혀 있었다. 국방부는 신세대 장병들의 요구에 맞춰 최전방 부대에서도 개인정비 시간에 휴대전화 사용을 허용한다. 이곳 부대도 매일 오후 5시30분부터 오후 8시30분까지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오는 8월 전역을 앞둔 표재현(22) 병장은 “주로 브랜드 샴푸나 폼 클렌저, 선크림 등을 택배로 주문해 쓰곤 한다”면서 “몸을 만들기 위해 체력 단련도 많이 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최근 월급 인상으로 병사들 사이에선 18개월 군 복무기간 ‘시드 머니’ 1500만원 만들기 열풍도 불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