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영국이 사랑하는 작가' 데버라 리비 "소설은 다른 세계로의 초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영국 작가 데버라 리비(65)의 신작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가 지난 7일 국내 출간됐다.

리비는 세계적 권위의 문학상인 영국 부커상 후보에 세 번 이름을 올린 작가다. '포스트 찰스 디킨스'로 불리는 제이디 스미스, 브렉시트 후의 영국 사회를 그린 계절 4부작으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 앨리 스미스 등과 함께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가'로 꼽힌다.

소설은 1980년대 런던에 사는 젊은 역사학자 솔 애들러가 동유럽 공산주의를 연구하기 위해 동베를린으로 떠나며 시작된다. 애들러가 예기치 않은 자동차 사고를 당하며 여러 관계가 어긋나게 되고, 이 사고를 기점으로 애들러는 미래를 보기 시작한다. 이야기는 28살의 애들러와 56살의 애들러의 이야기가 뒤죽박죽 교차하면서 전개된다. 56살의 애들러는 지나온 시간 속에서 '나는 누구였는가' 묻는다.

리비는 이 책으로 2019년 부커상·골드스미스상 후보에 올랐고 이듬해 이혼과 모성, 여성 작가로서의 정체성 등을 다룬 에세이『살림 비용』으로 페미나상을 받았다.

영국 작가 데버라 리비. 최근 그의 장편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가 국내에 소개됐다. 사진 Sheila Burnett

영국 작가 데버라 리비. 최근 그의 장편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가 국내에 소개됐다. 사진 Sheila Burnett

국내에 리비의 장편 소설이 소개되는 것은 『핫 밀크』에 이어 『모든 것을 본 남자』가 두 번째다. 최근 데버라 리비를 서면으로 인터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페미나상 수상작부터 얘기해보자. 『살림 비용』은 이혼 후 찾아온 깨달음을 담은 자서전이다. 또 다른 자전적 에세이『알고 싶지 않은 것들』에서는 여성 작가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다뤘다. 여성 독자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가.
'세상은 여성의 것이기도 하다'(The world belongs to women, too)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간단한 문장이지만 절대 간단하지 않은 이야기다. 특히 중년 여자는 젠더와 나이라는 두 가지 제약을 안게 된다. 『살림 비용』은 그에 대한 이야기다. 
에세이 뿐 아니라 소설에서도 정체성과 권력 문제를 자주 다뤘다. 
여러 작품을 쓰며 권력이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바꾸는지, 인간관계를 어떻게 비틀어 놓는지 탐구해왔다. 주인공은 대부분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인물이다. 자신을 잘 알고 있거나 평탄한 인생을 사는 캐릭터에는 관심이 없다.  
희곡으로 시작해 시와 소설, 에세이 등을 썼다.
시는 그림을 그리는 것과 비슷하다. 독자가 시를 읽으며 어떤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어야 한다. 글이 아니라 이미지가 말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연극도 여백이 필요하다. 배우의 몸짓, 음악, 의상, 조명 같은 여러 요소가 각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글을 덜어내야 한다. 반대로 소설은 글로만 승부한다. 각각의 재미가 있다. 
데버라 리비 장편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 표지. 사진 민음사

데버라 리비 장편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 표지. 사진 민음사

『모든 것을 본 남자』는 과거와 현재, 미래가 교차하는 복잡한 구조의 소설이다. 28세의 솔 애들러와 56세의 솔 애들러의 이야기가 퍼즐 조각처럼 맞춰지며 그의 내면을 입체적으로 그린다. 
나는 이 소설을 '금이 간 거울'이라고 부른다. 쪼개진 틈 양쪽에 과거와 미래가 있다. 생각해보면 간단하다. 과거는 현재에 살아있고, 현재는 미래에 살아 있으니까. 이런 형식 때문에 소설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걸 바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때때로 우린 자신을 이해하지 못할 때가 있지만, 그 또한 괜찮다. 책을 이해하는 것이든, 나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든 시간이 필요하다. 
한국에 소개된 첫 장편 『핫 밀크』에는 모녀 관계의 복잡성이 드러난다.  
『핫 밀크』는 자신의 병을 이용해 딸을 영원히 곁에 두고 싶어하는 엄마에 대한 이야기다. 가정 내 권력 관계에 오랜 시간 관심을 가졌다. 권력은 흥미로운 주제이며, 특히 가족 이야기와 결합했을 때 격렬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소설을 쓰는 궁극적 목적은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서. 다른 세계로 들어가기 위해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