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철학자 칸트는 '사이코패스'였다…성선설 인간 94%만 유효, 왜 [BOOK]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책표지

책표지

도덕의 일반이론 상·하
황태연 지음
한국문화사

『도덕의 일반이론』(상·하)이라는 책 제목이 주는 중압감이 상당하다. 그동안 일반이론이라는 이름값을 한 책은 케인즈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정도다. 그런데 언뜻 생각해도 경제보다 도덕의 일반이론 정립이 더 어려워 보인다. 인류는 인간 본성을 두고 오랜 시간 성선설, 성악설, 때로는 백지설로 설왕설래했다. 동서양의 도덕 논의가 한데 어우러진 적도 없었다. 그렇다면 『도덕의 일반이론』이 ‘일반이론’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을까? 답은 ‘그렇다’이다. 이것이 이 책을 소개하는 이유다.

그 근거는 이렇다. 첫째, 이 책은 동서고금의 도덕론을 망라한다. 그것도 단순 배열에 그치지 않고 공맹철학의 서천(西遷)이 서양에 미친 변화상을 시작으로 동서고금의 도덕적 논의들이 엉킨 실타래 풀리듯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둘째, 부제 ‘도덕철학에서 도덕과학으로’에 걸맞게 이 책은 이성과 합리성을 기반으로 도덕성을 연역·도출하는 형이상학적 도덕철학에 엄정한 비판을 가한다. 도덕과학은 베이컨과 흄을 통해 개념화되고, 공자의 공감적 해석학과 조우한다. 그리고 주술과 신학에 기댄 스콜라적 도덕철학과 합리론적 도덕철학의 한계를 갈파한다.

독일 철학자 칸트(1724~1804)

독일 철학자 칸트(1724~1804)

셋째, 이 책은 놀랍게도 도덕이론에 사이코패스 개념을 도입하여 성선설, 성악설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다. 인간 본성에 기초한 성선설은 96% 유효하고, 성악설은 인구의 4%에 달하는 사이코패스 비중만큼만 유효하다. 여러 심리학자ㆍ뇌과학자ㆍ철학자가 칸트가 이상화한 합리주의적 도덕주체가 실은 사이코패스적 인물형이라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이 책은 한 단계 더 나아간다. 칸트 저작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칸트가 ‘동정심’ㆍ‘정의감’ㆍ‘양심’ 등을 비롯한 도덕감정을 ‘언어’로는 알지만 감각으로는 ‘느끼지’ 못하는 사이코패스였음을 밝힌다.

이 책은 인간의 도덕적 진화와 더불어 도덕철학의 진화를 다룬 거대한 도덕철학사이다. 읽는 내내 도덕의 일반이론이 정립될 수 있겠다는 흥분이 가시지 않았다. 이 느낌을 공유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