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혼부부 빚은 1.6억 최대, 자녀 수는 0.65명 최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직장인 이모(34)씨는 내년 2월이면 결혼한 지 3년째가 되지만 아직 아이 낳을 계획이 없다. 내 집 마련을 위해 이씨와 아내 모두 대출 받아 매달 부담해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만 360만원에 달한다. 이씨는 “베이비시터 비용은 꿈도 못 꾸니 당분간은 빚 갚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새로 결혼하는 부부의 수가 계속 줄어드는 가운데 결혼해도 아이가 없는 신혼부부의 비중이 역대 최대 규모로 늘었다. 맞벌이가 늘면서 신혼부부의 연 평균 소득은 늘었지만 대출 잔액은 그보다 2.4배 많아 팍팍한 삶이 이어지고 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이날 발표에 따르면 결혼한 지 5년이 넘지 않은 신혼부부는 지난해 103만2000쌍으로 1년 전보다 6만9000쌍(6.3%) 줄었다. 전체 신혼부부 중 81만5000쌍(79.0%)은 초혼이고 21만4000쌍(20.7%)은 재혼 부부였다. 초혼 비중이 줄면서 재혼 비중은 처음으로 20%대를 넘으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15년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될 때만 해도 147만2000쌍이었던 신혼부부 수는 매년 5만~8만 명씩 줄어들며 역대 최저 수치를 갈아치웠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100만 쌍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차준홍 기자

차준홍 기자

자녀를 두지 않고 맞벌이 하는 ‘딩크족’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절반(46.4%)은 자녀가 없는 부부였다. 전년(45.8%)보다 0.6%포인트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유자녀 비중은 53.6%로 0.6%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0.65명으로 전년보다 0.01명 감소했다.

맞벌이 비중도 증가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비중은 57.2%로 1년 전(54.9%)보다 2.3%포인트 증가했다. 덕분에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6400만원)보다 6.1% 증가했다.

하지만 신혼부부의 삶은 여전히 팍팍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보다 빚이 더 늘고 유주택자 비중은 줄었다. 지난해 기준 신혼부부 10명 중 9명(89%)이 금융권 대출이 있었는데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6400만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1억5300만원)과 비교하면 7.3% 증가했다.

한편 서울시는 공무원에 대해 육아시간 제공 대상을 만 5세 이하에서 만 6~8세로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1년 범위에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준비를 위한 시간으로 하루 2시간까지 허용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