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결국 아무런 혁신도 일어나지 않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5일 오전 국회 당대표실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5일 오전 국회 당대표실을 나서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여당 지도부, ‘헌신·희생’ 혁신위 최후통첩 묵살

내각·참모진 출신도 험지 외면하며 대거 양지로

국민의힘 지도부가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주류가 희생하는 모습을 보이라’는 혁신위원회 요구를 외면했다. 그제 최고위원회의에는 ‘지도부·친윤·중진 험지 출마 또는 불출마’ 안건이 상정조차 되지 않았다. 이날은 혁신위가 김기현 지도부에 응답을 최후통첩한 날이었다. 지도부와 혁신위 사이에선 ‘안건 보고 요청이 있었다, 없었다’ 낯 뜨거운 진실공방까지 벌어졌다. “아무런 답을 하지 않는 것은 최악”이라는 일부 지도부(김병민 최고위원)의 경고음도 사실상 묵살됐다.

여당은 수도권 총선 민심의 가늠자였던 10·11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참패한 뒤 환골탈태를 외치며 혁신위를 발족했다. 하지만 한 달 남짓 만에 용두사미의 결말로 가는 형국이다. 그동안 다섯 차례 혁신안이 나왔지만 1호 안이었던 홍준표 대구시장, 이준석 전 대표 징계 철회안만 수용되고 나머지는 쇄신 대상자들의 반발에 부닥쳐 한 발짝도 못 나갔다. 친윤 장제원, 영남 5선 주호영 의원은 물론 김기현 대표마저 희생 요구에 등을 돌렸다. 혁신위 초기 여당의 수도권 지지율이 반짝 반등한 것 외에 어떤 성과도, 혁신도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 대신 주류-혁신위 간 집안싸움만 요란했다. 인요한 혁신위원장 자신도 윤심(윤석열 대통령 의중)·셀프 공천관리위원장 추천 발언 등으로 잇따라 구설에 오르며 동력 상실을 자초한 측면이 컸다.

그 사이 여권 내에선 “총선은 당연히 김 대표 체제로 치러질 것”(장예찬 청년최고위원), “비상대책위원회라는 야전 천막을 친다고 해서 전투에서 이기겠냐”(태영호 의원)는 등 현 지도체제로 총선을 치르자는 주장이 부쩍 많아졌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당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이낙연 전 대표가 각각 2선 지휘와 1선 유세로 역할을 나눴던 이른바 ‘이해찬 모델’을 본뜬 역할분담론도 구체적으로 거론된다고 한다. 민심은 혁신의 회초리를 거두지도 않았는데 떡부터 달라고 나선 격이다.

대통령실·정부에서 요직을 거친 인사들도 꽃길만 걸으려 해선 안 된다. 실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역구인 인천 계양을 도전설이 나오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나 경기 의정부갑의 전희경 전 정무1비서관 정도 외엔 대부분 험지는 고사하고 서울 강남이나 영남 등 양지 셀프 출마설이 파다하다. 전략공천 등의 특혜가 없다는 게 대통령실과 여당의 입장이다. 개인의 출마 지역 또한 선택의 자유지만 헌신·희생이 요구되는 혁신의 대의와 전혀 맞지 않는다. 영입 인사인 이수정 경기대 교수가 비례대표도 마다하고 야당 강세 지역인 경기 수원정에 출마하겠다는 도전과도 사뭇 대비된다. 혁신위는 7일 혁신안의 최고위 상정을 재차 요청하겠다고 했다. 여당이 민심의 매서운 관찰과 기억력을 망각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