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R&D 늘리고, ‘배터리여권’ 만들고…K-배터리, ‘초격차’ 기술 찾는다

중앙일보

입력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초격차’ 기술을 찾는 한편,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하는 등 내실을 다지는 방안을 찾는데 골몰하고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미래 성장동력을 찾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R&D·시설 투자 지속

21일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3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은 올 들어 연구개발(R&D) 투자를 일제히 늘렸다. K-배터리 3사의 올 1~3분기 R&D 투자 합계는 총 1조7874억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1조5884억원)보다 12.5% 증가했다. 회사별로는 SK온이 29.6%(1703억→2207억원), LG엔솔 15.2%(6340억→7304억원), 삼성SDI 6.7%(7842억→8364억원) 등이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공격적 투자 계획을 앞세워 공장 구축·증설로 생산 능력을 늘려왔다면, 이제는 근본적인 기술력을 끌어올리는 투자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한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이나 중국이 승기를 잡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등에서 추격 고삐를 죄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전기차 수요 둔화를 타개하려면 배터리 활용 시간이 획기적으로 늘어나거나, 단가가 확 낮아지거나 절대 불에 타지 않는 배터리가 개발되는 등 또 다른 모멘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업계는 우선 중국이 주도권을 잡은 LFP 배터리 진출을 시급한 문제로 보고 있다. LFP는 한국 업체가 주도하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와 비교해 30~40%가량 저렴하다. 저렴한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선 전체 원가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의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게 핵심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 3사는 LFP 배터리를 관련 계획을 언급했다. LG엔솔과 삼성SDI는 2026년부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계획을 공식화했고, SK온도 “수주 확보와 양산 계획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600조 시장 열자”…‘배터리 여권’ 주목

한동안 쓰레기 취급받던 폐배터리를 ‘황금알’로 탈바꿈하기 위한 생태계를 구축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배터리 관련 민간기업·기관 간 협의체인 ‘배터리 얼라이언스’는 ‘사용 후 배터리 통합관리 체계’를 담은 법률안을 지난 14일 정부에 제출했다. ‘배터리 여권’ 제도라 불리는 통합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언제 어디서 만들어져 어떻게 쓰였는지, 누구에게 팔렸는지, 검사 결과는 어땠는지 등의 정보를 담는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현행 법령상 ‘폐기물’로 분류되는 사용 후 배터리를 ‘전기차에서 분리돼 재제조·재사용·재활용 대상이 되는 배터리’로 새롭게 규정이 가능해진다.

게티이미지프로

게티이미지프로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사용 후 배터리’ 시장 규모는 2030년 70조원에서 2040년 230조원, 2050년 60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이미 배터리 재활용의 단계별 국가 표준을 제정해 적용 중이고, 지난해에는 배터리 재활용 산업 발전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었다. 유럽도 2020년 12월 배터리 규제안을 만들어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활성화에 나섰다.

권영수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LG엔솔 부회장)은 지난 1일 ‘2023 배터리 산업의 날’ 행사에서 “급히 성장하다 보니 간과한 것들이 있는데 그런 것을 다지다 보면 배터리가 한 번 더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지동섭 SK온 사장도 “중장기적으로 시장은 더 성장할 수 있다. 오히려 숨을 고르면서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