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도 최태원·노소영 말 안했지만…화제된 '특유재산' 토론회
“경영 성과는 혼인 중 기업경영자의 경영 활동 결과인 한, 이혼할 때 재산분할 대상이 돼야 한다.” (이동진 교수) “부부간의 내밀한 분쟁이 부부와 별개인 회사의 존립과 운영에까
-
美청문회서 얻어맞은 틱톡…모회사가 낸 3년전 앱 '역주행' 왜? [트랜D]
지난 3월 미국 하원 청문회에서 추 쇼우즈 틱톡 CEO는 틱톡은 중국 정부에 데이터를 전달한 적이 없고 미국 규제를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일 미국 정부의 틱톡 때리기가
-
배터리 양극재·음극재도 미 ‘보조금’ 혜택…우려했던 한국 기업 안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의장이 지난해 9월 13일 백악관에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통과를 자축하고 있다. 가운데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EPA=연
-
TSMC 회장 "美반도체법,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들 있어" 우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반도체법(CHIPS Act)의 보조금 지급 조건이 과하다는 우려를 내놓았다. 미국 정부의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 보
-
이젠 MZ 아닌 젠Z…디지털원주민 20대, 트렌드를 바꾼다
LG전자 직원커뮤니티 ‘엠지트’ 소속 문선애·김서연·김수빈·안수민·주소미·김선태·박형윤씨(왼쪽부터)가 신제품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고석현 기자 “조명이 제품 상단에 있으면 실제
-
[issue&] 사내 가족·출산 친화제도 성과공유회 개최 기업차원의 저출산 문제 해법 적극 모색
포스코 10일 열린 기업시민·ESG 러닝랩에서 조영태 교수가 사내 가족·출산 친화제도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 포스코] 포스코가 지난 10일 포항 본사에서 사내 가족·출산
-
기업들 광화문광장 출동, 부산엑스포 유치 총력전
주요 기업들이 다음 달 3일까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행사에 참가한다.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튜디오를 찾은 관람객들. [사진 각 사] 국내
-
올들어 주가 353% 로켓상승, 에코프로 3형제에 무슨 일이…
353%. 코스닥에 상장된 에코프로 주가의 올해 상승률(30일 종가 기준)이다.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생산업체 에코프로비엠의 지주사인 에코프로의 상승세는 거침없다. 30일에
-
[Biz & Now] 7월부터 네이버·카카오도 재난관리 의무 대상 포함
7월부터 네이버·카카오 같은 부가통신사업자도 정부의 재난관리 의무 대상에 포함된다. 지난해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카카오 서비스 장애에 따른 후속 조치다. 과
-
[세컷칼럼] 보면 볼수록 어색한 김병준의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한일 관계 개선의 전면에 등장한 건 반가운 일이다. 누가 뭐래도 전경련은 재계의 맏형이다. 2016년 K스포츠·미르재단 후원금 모금이 드러나고, 4대 그룹(삼성
-
젊어지는 기업들…"회식 안 하나요?" 이런 말 20대가 먼저한다
사진 셔터스톡 “그런데 팀장님, 우리는 회식 안 하나요?” 젊은 세대가 회식을 싫어한다는 건 뭘 모르는 소리다. 건배사나 폭탄주 강요가 없는 회식은 언제든 환영이다. 기업의
-
김선형, 10년만에 다시 프로농구 MVP "제 영광의 시대는 지금"
서울 SK의 가드 김선형이 남자프로농구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10년 만에 두 번째로 MVP를 수상한 그는 “저의 영광의 시대는 지금”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연합뉴스 ‘플래
-
'수익률 353%' 위태로운 질주? …시총 현대차 육박한 이 그룹
353%. 코스닥에 상장된 에코프로 주가의 올해 상승률(30일 종가 기준)이다.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생산업체 에코프로비엠의 지주사인 에코프로의 상승세는 거침없다. 30일
-
[팩플] 네이버·카카오 7월부터 재난관리 의무…‘제2의 카카오 사태’ 막는다
지난해 10월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판교캠퍼스에서 화재가 발생해 관계자들이 복구작업을 위해 현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뉴스1] 오는 7월부터 네이버·카카오와 같은 부가통
-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 4조? 그런데도 “바닥 쳤다”는 그들 유료 전용
■ 머니랩 프리뷰 「 정보는 돈입니다. 투자자가 금융·자산시장의 이슈와 이벤트를 꿰고 있어야 하는 이유죠. 머니랩이 전문가 6명(그래픽 참조)의 조언을 받아 투자자들에게 꼭 챙
-
“엑스포 실사단 마음 잡아라” 대기업, 광화문광장서 유치 총력전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 주최로 30일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개막하는 '광화에서 빛; 나이다' 행사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참여한다. 롯데 소속 캐릭터 벨리곰과 로티
-
환승연애 지웠어, 이제 됐지? 뻔뻔한 누누티비 왜 못 잡나 유료 전용
Today’s Topic누누티비, 왜 지금 문제야? 지난 10일 공개된 ‘더 글로리’ 파트2 보셨나요.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공개 이튿날 국내 넷플릭스 이용자 수(DAU)는
-
[포토버스]몽클레르 입은 벤츠도 나왔다…‘2023 서울모빌리티쇼’
기아의 첫 대형 전기차 SUV EV9이 공개되고 있다. 내일(31) 일부터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2023 서울모빌리티쇼’가 열린다. 서울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가 주
-
주주와 소통장 만든 SK이노…“SK온 주식 주주에 지급 검토”
SK이노베이션은 30일 정기주주총회 뒤 '주주와의 대화'를 열었다. (왼쪽부터)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 김준 SK이노베이션 부회장, 지동섭 SK온 사장, 나경수 SK지
-
"물 사용량 10% 줄여라"...대만 반도체업계 속 타는 가뭄 고민
세계 최대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TSMC를 비롯한 대만 반도체 업체들이 앞다퉈 수도꼭지를 잠그고 있다. 기후변화로 최근 몇 년 새 수자원 고갈이 심화하자 '물 사용량 줄이기'
-
[THE CREATIVE 2023] 복합소재 관련 원스톱 마케팅
(주)케이에프컴스가 ‘대한민국 창조경영 2023’ 혁신경영 부문에 선정됐다. 케이에프컴스는 FRP 복합소재 제조 전문기업이다.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독보적 조직력과 기술력을
-
[건설 & 부동산] 건설사들, 주택사업 의존도 낮추고 미래 먹거리 찾기 총력
성장성 중심 사업 구조 재편 삼성물산·SK 롯데·한양 등 소형원전·탈탄소·UAM·수처리 신사업으로 새 성장 모델 구축 물산업 조사기관 GWI가 선정한 2022년 ‘올해의
-
[건설 & 부동산] 미 병원시설에 연료전지 발전소 준공 도심지 분산형 전원 글로벌 시장 개척
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가 도심지 분산형 전원 구축에 나서며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최근 북미 법인 SK에코플랜트 아메리카스가 병원 시설에
-
WSJ “반도체 기업들, 미·중 사이서 심각한 부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CHIPS Act) 시행 이후 미국 아니면 중국이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였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