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항생제로 감기 치료 안 되는데…국민 74% 잘못 이해

중앙일보

입력

질병관리청은 18~24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맞아 올바른 항생제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18~24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맞아 올바른 항생제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사진 질병관리청

국민 10명 중 7명은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의 용도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을 맞아 질병관리청은 이같은 내용의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11월 18~24일을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으로 지정하고, 국가별 캠페인을 운영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질병청이 지난해 11월 13~30일 국민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항생제의 정확한 용도(세균 감염질환 치료)를 아는 비율은 25.9%에 불과했다.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질환’을 치료한다고 생각한 비율이 61.9%, ‘바이러스 감염질환’과 ‘모름’ 선택지를 택한 비율은 각각 6.1%로, 총 74.1%가 항생제 용도를 제대로 알지 못했다.

‘증상 개선 시에도 항생제를 임의중단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1.9%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 용량과 기간을 준수하는 게 중요한데도, 증상이 나아지면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시사한다.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에서 세균 감염질환 치료라는 항생제 용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비율은 25.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2022년 항생제 내성 인식도 조사'에서 세균 감염질환 치료라는 항생제 용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비율은 25.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질병관리청

의사 1046명에 대한 조사에서는 약 10명 중 6명(59.6%)이 항생제가 불필요한 경우 처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불필요한 항생제를 처방할 때의 원인으로는 ‘2차 세균감염 예방’을 꼽은 경우가 40.9%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항생제 필요 상황 구분의 어려움’ 22.2%, ‘환자 요구로 처방하는 경우’ 15.8% 순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내성 증가의 원인으로는 15.5%가 ‘환자의 항생제 복용 임의중단’을 꼽았지만, 처방지식 부족으로 인한 과다 처방(15.3%), 검사 여건 부족으로 인한 과다 처방(15.2%) 등이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질병청은 “항생제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약으로 세균 감염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감기·독감(인플루엔자)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질환에는 효과가 없다”고 밝혔다.

불필요한 항생제 복용으로 내성이 생기면, 항생제가 실제 필요한 상황에 선택할 수 있는 약이 줄어들어 사망률 등이 증가할 위험이 있다. 영국 연구진은 이대로 항생제 내성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 2050년까지 전 세계 1000만명이 목숨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질병청은 올바른 항생제 사용문화 정착을 위한 ‘2023년 항생제 내성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항생제는 필요할 때만, 제대로 사용해요(항·필·제·사)’를 슬로건으로 정하고, 이달 민간전광판, 라디오 음원 광고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22일에는 대한항균요법학회와 공동으로 ‘2023년 항생제 내성 포럼’을 개최해 국내외 정책 및 연구현황을 공유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항생제 남용은 ‘조용한 팬데믹’이라 불릴 만큼 심각한 보건 위협”이라며 “정부 부처와 의료기관, 사회 각 분야 협력을 통해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량을 줄이고 항생제 적정 사용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항생제 내성 Q&A. 사진 질병관리청

항생제 내성 Q&A. 사진 질병관리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