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내몸의 모든 것 알고싶다" MZ 이 심리에 4배 커질 이 '돈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판 커지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팩플 오리지널

MBTI를 주민번호처럼 외우고 다니는 MZ세대들이 ‘건강 데이터’ 수집에 열중입니다. “내 몸의 모든 것을 알고 싶다”는 ‘몸BTI 시대’ 헬스케어 기업들을 소개합니다. 유전자 검사 업체 이용자 80%가 20~30대입니다. 키트에 타액을 넣어 보내면 피부·모발·비타민 상태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 땐 스마트폰 앱으로 24시간 혈당 추이를 관찰합니다.

MBTI나 퍼스널 컬러, 심지어 중·고교 생활기록부까지 뜯어보는 MZ세대가 이젠 건강 데이터를 모은다. 내 몸의 혈당 스파이크(혈당이 급증했다가 급락하는 현상)는 언제 어떤 패턴으로 생기는지, 내 DNA는 어떻길래 물만 먹어도 살이 찌는지 등이 궁금한 이들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키운다.

2030 소비자들은 ‘셀프 분석’에 기꺼이 돈을 쓴다. 시장조사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대의 73.2%가 ‘나는 요즘 나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고 응답했다. 30대는 68.8%. 국내 유전자 검사 1위 업체 마크로젠에 따르면, 전체 이용자의 약 80%가 20~30대다.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으로, 오래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이 기술과 만난 지점이 디지털 헬스케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BCC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자가 건강 모니터링 시장은 2021년 487억 달러(약 66조1300억원)에서 2026년엔 1859억 달러(약 252조4500억원)로 4배 가까이 커질 전망이다.

해외에선 최신 기술과 개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가 더 빠르게 결합하고 있다. 생활습관이나 주거 환경 등을 몸 상태에 맞게 최적화하는 ‘바이오 해킹’이 대표적 트렌드다. 최신 의과학 기술로 몸을 ‘해킹’해 더 건강하고 생기 있게 사는 게 목표다. 이들이 바라는 ‘내 몸 사용 설명서’는 뭐로, 어떻게 만들까.

‘탈모는 정해진 운명일까’. 유전자 검사로 알 수 있다. 과거엔 의료기관에서만 가능했으나, 2016년 이후 국내에서 DTC(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가 검사기관에 직접 의뢰) 방식의 유전자 검사가 합법화됐다. 검사 항목은 피부·모발 상태, 식습관, 비타민 농도, 유당불내증, 폐활량 등이다. 업체 홈페이지에서 결제하고, 택배로 받은 키트에 타액을 넣어 반송하면 2~3주 안에 결과를 받아본다. 국내 사업자는 검진 항목을 129개까지 운영할 수 있다. 1만~8만원. 글로벌 사업자의 경우 최대 500개 항목을 분석한다. 189달러(25만6000원)~629달러(85만4000원).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혈당 관리도 당뇨 환자만 하는 게 아니다. 비채혈 방식의 혈당 측정 기기들이 나오면서 경계성 당뇨가 있는 사람이나 다이어터의 관심이 급증했다. 패치 형태의 비침습연속혈당채혈기(CGM)를 쓰면 바늘에 찔리는 고통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24시간 동안 혈당 추이를 관찰할 수 있다. CGM 제조사와 IT 서비스 회사가 손잡고 측정부터 분석까지 패키지로 제공하는 상품도 있다.

본인과 가족의 ‘코골이’ 고통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도 발전했다. 병원에 입원하던 수면 패턴 검사를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로도 할 수 있다. 수면 중 숨소리나 뒤척임을 모바일 기기로 체크한다. 매트리스와 베개에 센서가 삽입되면서 침구로도 수면을 체크한다. 수면 중 호흡을 측정해 자세 개선 방법을 알려준다. 또 몸에 맞는 수면 온도를 찾아주기도 한다.

보건복지부가 2019년부터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에서 의료법상 ‘의료 행위’와 ‘비의료 건강관리 서비스’를 구분하면서 비의료 시장이 클 수 있었다.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해 IT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과 의료 영리화와 개인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충돌한다. 의료계는 유전자 검사도 병원에서 의사 판단하에 이뤄져야 한다고 보는 편이다. 내 생체 데이터를 민간기업에 맡겨도 될지, 무단 열람이나 외부 유출 가능성은 없을지 등 소비자 우려를 기업들도 모르지 않는다. 기업들은 “개인 동의 없이 수집된 정보를 서비스 고도화 등에 활용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