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육아휴직 쓴 직원 퇴직해도 3년 뒤 재채용…기업이 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국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성세대는 물론 기업이 변해야 합니다.”

지난 9일(현지시간)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클로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가 수상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을 콕 집어 내린 진단이다. 골딘 교수는 “(한국처럼) 변화가 빠를수록 전통(남성 우위 문화)과 부딪힐 수밖에 없다”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과 관련해 포용적인 정책을 시행하더라도 직장 문화가 여전히 정책을 따라가지 못하는 일본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인구 감소에 따라 경제 ‘허리’인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며 생산·소비·투자를 비롯한 경제 전반이 활력을 잃는 ‘슈링코노믹스(축소 경제)’에 대응하는 열쇠는 기업이 쥐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협력업체 등 양질의 일자리가 밀집한 경기도 평택은 상징적인 사례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평택의 지난해 출산율은 1.028명으로 인구 50만 명 이상 시·군·구에서 유일하게 출산율이 1.0명을 넘겼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난 게 평택의 출산율을 높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업 경쟁력 관리 측면에서 유연근무 확대, 불이익 없는 승진, 경력단절 후 복귀 등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8월 육아휴직을 쓴 직원이 퇴직할 경우 3년 뒤 다시 채용하는 기회를 주는 ‘재채용 조건부 퇴직 제도’를 도입했다. 롯데는 2012년 국내 대기업 최초로 ‘여성 자동 육아휴직제’를 도입했다. 상사의 결재없이 ‘자동’으로 최대 2년까지 휴직할 수 있다. 최근 ‘네 쌍둥이’를 얻은 직원이 나와 화제가 된 포스코·SK온도 출산 친화적인 제도를 갖춘 회사로 평가받는다.

인사혁신처가 내년부터 8급 이하 다자녀(2명 이상) 공무원에게 승진 우대 혜택을 주고, 다자녀 부모가 이전 직장에서 퇴직한 뒤 10년까지 공무원 경력직 채용에 응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공직 사회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홈플러스 최고인사책임자를 지낸 최영미 이화여대 특임교수는 “여력이 있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견·중소기업도 육아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