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안태환의 의학오디세이

살아남은 자의 슬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안태환 의학박사·이비인후과 전문의

안태환 의학박사·이비인후과 전문의

언론에서 연일 접하는 자살 사건 기사는 ‘사망’ ‘숨지다’ ‘극단적 선택’으로 순화되며 완곡하게 표현된다. 모방 자살을 막자는 취지에서 만든 보건복지부의 ‘자살 보도 권고기준 3.0’의 5가지 원칙을 준용하기 때문이다. 이후 대다수 언론이 선택한 ‘극단적 선택’은 자살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극단적 선택으로 순화된 자살
용어만 수정한다고 해결 못해
가족 등 ‘자살생존자’ 문제 심각
국가 차원의 지원 제도 있어야

[일러스트=김지윤]

[일러스트=김지윤]

‘우리’의 가치보다 ‘각자도생’의 삭막한 한국 사회로 치닫고 있는 오늘날, 용어마저 서늘한 자살률은 높아도 너무 높다. 인구 10만 명당 고의적 자해에 의한 사망자 수는 2021년 기준, 26.3명에 달한다. 하루 36.5명이 스스로 고귀한 목숨을 끊었다. 초유의 감염병으로 암울했던 지난 3년, 코로나 사망자보다 자살자가 더 많은 국가가 되었다. 생명을 다루는 의사로서 어쩌지 못하는 자괴감이 밀려온다.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맨 앞에 18년째 서 있다. 우리 공동체의 위기를 무기력하게 지켜보기엔 생명존중의 위기는 엄혹하다. 국가의 미래인 10대에서 30대에 이르기까지 사망 원인 1위, 국가 동력의 주축인 40대 사망 원인 2위라는 현실은 참담하고 황망하다. 여기에 더해 질병에 묻힐 뿐 노인의 자살률은 더더욱 심각하다. 어찌하다 이 지경이 되었을까.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전환된 유일한 나라이다. 원조받는 나라에서 원조를 제공하는 전무후무한 나라이기도 하다. 국민의 꿈이었던 선진국 진입은 달성하였지만, 자살 공화국의 오명도 부여받았다. 성장의 빛은 찬란했으나 그 이면에서는 자살을 제대로 호명하지 못하고 용어만 순화된 채 애써 회피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게 ‘극단적 선택’이라는 방관자적 용어 속에 자살은 개인의 문제로 한정되었다.

가족과 지인의 애절한 슬픔으로 남는 자살은 ‘개인 목숨’으로 그치지 않는다. ‘사회 목숨’으로 그 비극은 확장된다. 그러하기에 자살은 공동체의 시급한 의제이다. 한국의 자살률은 극단적 비교이겠지만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증후군 PTSD에 시달리는 미군 자살률보다 높다. 무한 경쟁 속 한국 사회의 실존적 현실이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대 심리학자 로리 오코너 교수의 『마지막 끈을 놓기 전에』는 한 개인이 자살로 향해가는 과정에 투영된 여러 요소를 제시한다. “생존의 전투에서 패배한 사람의 고통을 이해하는 데 이 책이 도움되기를” 바란다는 저자의 서문은 자살이 슬픔으로 끝날 애도가 아닌 남겨진 자들의 성찰 대상임을 제시한다.

우리 사회는 가까운 이의 자살 이후 남겨진 사람을 뜻하는 ‘자살 생존자(Suicide Survivors)’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취약하다. 일상을 동행해온 사람이 자살로 세상을 떠난 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겪는 ‘자살 생존자’에 대한 통계는 따로 없지만, 자살률이 증가하면 자살 생존자도 함께 늘어난다고 추론할 수 있다. 최근 논문에 따르면 한 사람의 자살은 적게는 5명에서 많게는 28명에게까지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자살 생존자’ 문제는 사회적 파급력을 갖지만 이에 대한 공론화는 취약하다. 한국처럼 인구 밀도가 높고 관계 지향적 사회에서는 자살 생존자의 범위는 더 넓을 것이다. 부지불식간에 일어난 처연한 이별을 사회적 관습과 제도의 수순으로 거쳐 가지만 남겨진 자들의 마음은 검게 그을린 나무 옹이처럼 남는다.

살가웠던, 소중했던 사람을 자살로 잃은 사람이 떠난 이의 선택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회복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자살로 누군가를 잃고 힘들어하는 남겨진 자들에게 또 다른 비극이 재연되지 않도록 적절한 국가적 지원과 위로가 무엇인지 공감의 과정을 확장해야 한다. 국민적 교육이 될 수도 있고 복지적 접근과 의료적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물론 나는 알고 있다. 오직 운이 좋았던 덕택에 나는 그 많은 친구보다 오래 살아남았다. 그러나 지난밤 꿈속에서 이 친구들이 나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강한 자는 살아남는다.’ 그러자 나는 자신이 미워졌다.” 나치를 피해 신발보다 더 자주 나라와 언어를 바꾸며 끝내 살아남았던 독일 출신 시인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살아남은 자의 슬픔’ 속 한 구절이다. 생존자의 슬픔이 눅진하게 배어 나온다.

타인과의 감정에 유독 공감 능력이 뛰어난 ‘우리성’ 강한 한국인은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민족이다. 언젠가 떠난 자와 남겨진 자의 연결된 감정은 느슨해질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가눌 길 없는 순간순간의 슬픔 속에 살아갈 것이다. 살아남은 자들에 대한 국가의 관심이 이제는 존재하길 바란다. 역사학자 아널드 조지프 토인비는 “죽음은 죽은 사람보다 남겨진 사람에게 더 날카로운 아픔을 남긴다”고 했다.

안태환 의학박사·이비인후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