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작년 초등생 11명 극단선택…5년전보다 266%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우울증 갤러리에선 미성년자 성착취와 약물 오남용, 자살 시도와 방조가 흔하게 벌어졌다. 사진 셔터스톡

우울증 갤러리에선 미성년자 성착취와 약물 오남용, 자살 시도와 방조가 흔하게 벌어졌다. 사진 셔터스톡

매년 7명 이상의 초등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5년(2018~2022년)간 교육부에 보고된 초등학생 자살 통계다. 지난해엔 11명, 5년 누적으로는 37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정경희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자살한 초·중·고교생은 822명, 연 평균 164.4명에 이른다. 고교생이 505명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생은 280명이었다.

청소년 자살 문제의 심각성은 지난 4월 발생한 일련의 사건에서도 적나라하게 나타났다. 닷새 만에 3명의 중학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서 교육 현장이 발칵 뒤집혔다. 16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건물에서 한 여고생이 실시간 방송을 켜놓은 채 숨졌고, 다음날엔 중3 남학생이 동급생을 흉기로 찌른 후 인근 아파트에서 투신했다. 21일엔 서울 압구정동의 한 아파트에서 14세 중학생이 떨어져 숨졌다.

5년 간 822명 죽었다…초등생도 37명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더 큰 문제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거나 생각하는 청소년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3일 새벽 한 사회복지법인의 상담게시판에 친구의 괴롭힘이 힘들다는 한 중학생이 글을 올렸다. 그는 “그냥 지금은 조용한 데에서 자연사로 죽고 싶다. 약까지 복용하면서 살아야 하나 싶다”고 적었다. 지난달 또다른 포털사이트의 Q&A 코너에는 자신을 17세 여학생으로 소개한 한 질문자가 “하루에도 한 번 씩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하고 있다. 불안함도 크고 고민을 털어놓을 곳도 없다. 부모님에게 연락 가지 않는 선에서 상담 받을 곳이 있을까”라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한 초·중·고생은 193명으로 5년 전(2018년·144명)보다 34.0% 늘었다. 고등학생은 32.6%(89→118명), 중학생은 23.1%(52→64명) 증가했고 초등학생은 266.7%(3명에서 11명) 늘었다. 백종우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자살은 굉장히 예외적인 일로 통계에서도 ‘0’에 가까운 숫자였는데, 최근 급격히 늘었다”며 자살의 저연령화 현상을 지적했다.

사망 원인은 가정문제(248건·이하 중복 포함), 학업 진로 문제(167건), 정신과적 문제(161건), 대인관계 문제(115건) 등의 순이었다. 서고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청소년 자살은 개인, 부모, 가족, 친구, 학교 관련 변인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충동성, 잦은 자해, 모방 등의 특성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청소년 우울증 환자 급증도 원인 

정신과적 문제로 인한 자살도 2018년 16명에서 2022년엔 67명으로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겪는 청소년이 증가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조사한 2021년 10대 청소년 우울증 진료환자는 5만7587명으로 2017년(3만273명)보다 90.2% 증가했다.

신의진 연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난 10일 국회 ‘학생 마음 건강 챙김’ 토론회에서 “서울의 한 유명 대학병원에 30개 정신과 보호(폐쇄) 병동 환자 90%가 자해 등으로 온 14~15세 아이들이다. (자리가 없어)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어른들도 정신과 보호병동에 못 간다”라고 심각한 상황을 전하기도 했다.

지난 3월 24일 청계천 한빛광장에 '학교폭력, 사이버폭력 예방 캠페인' 참여자들이 날린 학교폭력 아웃 상징 종이비행기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24일 청계천 한빛광장에 '학교폭력, 사이버폭력 예방 캠페인' 참여자들이 날린 학교폭력 아웃 상징 종이비행기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로 대인 관계 악화, 자살 부추기는 SNS…

학교폭력이나 코로나19가 학생들의 대인 관계 악화에 악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정신건강 전문가들로부터 학교가 비대면으로 전환됐던 기간 내재했던 스트레스들이 쌓여 학생들의 심적 부담이 가중됐다는 의견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자살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최근에는 부모와의 갈등 상황,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고운 연구위원은 “자살·자해 위험군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부모의 동의가 없어 적절한 상담 혹은 치료를 받지 못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청소년 자살 증가의 원인을 한두 가지로 단정할 순 없지만, SNS 등의 환경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최근 “인터넷 사이트와 소셜미디어는 자살을 부추길 수 있다. 자살동반자 모집, 구체적인 자살 방법 제시, 자살 유도, 자살 도구 판매 등 자살유발정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은 아이들 상처도 안고 가야”

임종식 경북도교육감과 경북도교육청, 포항교육지원청 등 관계자들이 지난 5월11일 오전 포항 두호고등학교 앞에서 '자살예방 릴레이 캠페인'을 하고 있다.  경북도교육청은 5월을 생명사랑 특별교육기간으로 정해 '너의 고민을 말해봐, 다들어줄께' 켐페인을 통해 학생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적극 알린다는 방침이다. 뉴스1

임종식 경북도교육감과 경북도교육청, 포항교육지원청 등 관계자들이 지난 5월11일 오전 포항 두호고등학교 앞에서 '자살예방 릴레이 캠페인'을 하고 있다. 경북도교육청은 5월을 생명사랑 특별교육기간으로 정해 '너의 고민을 말해봐, 다들어줄께' 켐페인을 통해 학생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적극 알린다는 방침이다. 뉴스1

정신과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정인 학생이 많은 만큼 학교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은정 전문상담교육연구회장은 “학업 중단부터 학교폭력, 정서·행동까지 모든 문제를 상담교사 한명이 맡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초중고교 및 특수·기타학교의 전문상담교사 배치율은 44.7%다. 정경희 의원은 “교육현장에서 상담지도를 늘리고, 가정과 학교, 사회로 구성된 안전망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재영 서울 중동고 보건교사는 “학생의 극단 선택이 발생하면 학교는 남은 아이들이 받을 상처를 안고 가야 한다”며 “학교 전체가 위기 상황에 있을 때 정신건강의학과 선생님이 학교를 방문해 정서적으로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진단을 내려주는 등의 도움을 주는 것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고운 연구위원은 “학생 개인의 자살, 자해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보호자, 주변 친구들, 현장종사자, 일반 청소년 및 교직원 등 지역사회 전반으로 정책의 대상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종우 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해외 선진국들은 이미 청소년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한 경험을 했다. 미국이나 유럽에선 청소년들이 부모 동의 없이 정신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라며 “진료 가능한 연령을 낮추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