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만리경은 '망원경'이었다...北위성 분석한 美 "정치적 의도 발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인 16일 인양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우주발사체 관련 브리핑이 진행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인 16일 인양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우주발사체 관련 브리핑이 진행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 정찰위성이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드러난 것은 북한이 군사 목적이 아닌 정치적 이유로 위성을 발사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5월 말 발사 직후 서해에 추락한 북한의 위성체 ‘만리경 1호’ 잔해를 인양해 분석한 결과 수거된 위성체는 정찰위성으로서의 군사적 효용이 전혀없다고 5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시어도어 포스톨 매사추세츠공대(MIT) 명예교수는 5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정찰위성은 카메라가 지상의 목표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도록 해야 하는데 이것은 매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의 위성 발사는 “기술적으로 발전된 국가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며 ‘종이 인형’(paper doll)에 불과한 위성으로 전 세계를 정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위협하려는 의도라고 봤다.

브루스 베넷 미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발사 목적에 대해 “한국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자 김정은은 북한이 열등하게 보이기를 원하지 않았다고 본다”며 “심각한 식량 부족 등의 문제 앞에서 (김정은이) 위성발사 성공을 통해 지도자의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연합뉴스

독일 미사일 전문가 마커스 실러 박사는 “정찰위성 1개로 중요한 군사 역량을 수행하는 것은 역부족”이라며 “북한은 자체 정찰위성을 발사하기보다 상업위성 사진을 사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추락한 위성체의 주요 부분을 인양해 한미가 공동 분석한 결과 군사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가로·세로 1m가 1개의 점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는 ‘해상도 1m’급보다 훨씬 해상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페이스북에 적은 글에서 북한 위성의 해상도가 ‘1m’를 크게 상회한 것(해상도가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북한 입장에서는 탱크나 트럭, 함정 정도만 식별해도 큰 군사적 효용성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북한이 정찰위성 재발사를 위해 러시아의 지원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RFA에 “북한은 실패 원인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부품, 장비를 해외에서 불법적으로 구할 것 같다”며 러시아의 지원을 받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