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618 축제’서도 시들…K뷰티, 베트남이 대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 화장품 시장의 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흐름을 보이면서 ‘K-뷰티’의 실적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시장 다변화가 절실한 가운데, 북미·일본과 함께 베트남이 화장품 대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중국 이커머스 업계 최대 쇼핑 행사로 불리는 ‘618 축제’에서 국내 화장품 업체들이 부진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등 주요 업체들이 618 행사 실적을 공개하지 않는 가운데, 중국 업체들의 순위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김현서 디자이너

김현서 디자이너

전자상거래 업체 티몰에 따르면, 618 기간(현지시간 1~18일) 스킨케어 판매 톱5 브랜드는 로레알·랑콤·에스티로더·프로야·올레이였다. 메이크업·향수 부문에서는 로레알 그룹에 매각된 스타일난다의 3CE가 1위, 이어 에스티로더·이브생로랑(YSL)·화시쯔·아르마니 순이었다. 한국 브랜드는 포함되지 않았다.

중국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 플랫폼 페이과 등에 따르면 틱톡(더우인) 스킨케어 부문 판매 상위 10개 브랜드에는 LG생활건강의 브랜드 후가 포함됐다. 순위는 7위로 지난해 2위에서 급락했다.

LG생건 관계자는 “상반기는 618, 하반기는 광군제가 양대 소비 축제인데, 중국의 전체적인 소비 부진이 이어지면서 행사 매출 자체가 떨어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중국의 제로 코로나19 정책 동안 궈차오(애국 소비) 열풍이 불면서 자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반면 애경산업은 전년 대비 판매액이 22.6% 성장하는 등 상대적으로 호실적을 거뒀다고 이날 밝혔다. 에이지투웨니스, 루나 등이 618 쇼핑축제 기간 주요 온라인 쇼핑 채널에서 약 157억원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한편 베트남이 K-뷰티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올해 1~5월 베트남으로의 화장품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동기 대비 43.4%로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기간에 중국과 일본은 각각 25.7%, 5.3% 감소했고, 미국과 홍콩은 각각 13.8%, 16.7% 상승했다. 한류의 세련된 이미지에 힘입어 베트남 젊은 층에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