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트램 시대’오나...전국 20여곳 우후죽순 추진, 교통 정체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위례선 트램 조감도. 자료 서울시

위례선 트램 조감도. 자료 서울시

서울 송파구에서 경기 성남 ‘위례신도시’ 구간에 첫 삽을 뜨면서 트램(노면전차) 사업이 전국에서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현재 트램을 추진 중인 곳은 경기도와 인천 등 수도권 14곳과 부산·대전·울산·제주 등 20여 곳에 달한다.

전국 20여곳 트램 추진
27일 국토교통부와 각 자치단체에 따르면 지난 13일 ‘위례선 트램’이 착공했다. 이 트램 노선은 송파구 마천역(지하철 5호선)을 출발해 위례중앙광장을 거쳐 복정역(8호선)에 이르는 본선과 창곡천에서 나뉘어 남위례역(8호선)으로 연결되는 지선으로 나뉜다. 총연장 5.4㎞에 정거장 12곳(환승역 3곳), 차량기지 1곳이 건설된다.

위례선 트램이 2025년 개통하면 1968년 서울에서 트램이 사라진 이후 57년 만에 노면전차가 부활한다. 트램은 대한제국(고종 36년) 시기인 1899년 서대문∼종로∼동대문∼청량리(8㎞) 구간에 도입된 이후 1968년까지 약 70년간 운행되다가 자동차가 대중하면서 사라졌다.

지난 13일 오전 위례중앙광장에서 열린 트램 착공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등 참석자들이 착공 세리머니 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뉴스1

지난 13일 오전 위례중앙광장에서 열린 트램 착공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 등 참석자들이 착공 세리머니 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뉴스1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트램은 철도 정시성과 버스 접근성 등 두 가지 교통수단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다. 또 지하철이나 경전선보다 건설비용도 상대적으로 적게 든다. 여기다 전기나 수소 등의 에너지를 이용해 소음과 매연이 없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라는 이미지도 강하다. 영국 런던처럼 도시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지하철 없는창원·울산, 적극 추진 
가장 대표적인 곳이 인구 100만이 넘는 대도시인데도 지하철이나 경전철이 없어 대중교통이 불편한 창원과 울산이다. 창원시는 2030년 개통을 목표로 5월 중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용역을 통해 경제적 효과를 입증할 자료를 준비한 뒤 내년 상반기 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총 3개 노선을 추진 중인데 사업비는 1조1653억원(국비 60%·지방비 40%)으로 추산하고 있다.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한 울산시는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고 있다. 지난해 8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중간 점검 조사에서 트램의 비용대비편익(B/C) 값이 0.74 정도로 1보다 낮게 추산돼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트램 지붕에 전기 배터리 대신 10분 충전에 200㎞를 갈 수 있는 수소 전지를 장착하는 ‘수소트램’을 추진 중이다.

동탄 트램 이미지. 자료 경기도

동탄 트램 이미지. 자료 경기도

오륙도 트램 조감도. 자료 부산시

오륙도 트램 조감도. 자료 부산시

대전, 트램 예산 2배로 증가 
대전시는 도시철도2호선 트램을 2024년 착공할 예정이다. 그동안 문제로 지적된 전기 공급 방식과 속도, 교통혼잡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무가선(無架線·기관차나 전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선이 없음)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올해 말까지 사업비 적정성 재검토와 업체 선정을 마치고 2028년쯤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애초 승인받은 7492억원보다 6599억원 늘어난 1조4091억원으로 증가했다.

반면 트램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사업비와 운영비 탓에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이 지체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예산 문제로 한 때 좌초 위기를 겪었던 부산 ‘오륙도 트램’이 대표적이다.

오륙도 트램은 부산 남구 대연동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용호동 오륙도 이기대어귀삼거리까지 1.9㎞ 구간에 추진 중이다. 당초 사업비가 500억원 이하인 470억원으로 책정돼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고 2020년 11월 기본계획 승인까지 받았다. 하지만 실시 설계 과정에 사업비가 906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한때 좌초위기를 맞았다. 이에 따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2월 오륙도 트램 사업의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갔다. 이 절차를 통과하면 사업을 재추진할 수 있지만, 개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교통 혼잡 등 우려 
제주는 지난해 오영훈 지사가 취임한 뒤 수소전지를 연료로 사용하는 무가선 수소 트램(제주공항~원도심~신제주, 18㎞·사업비 3600억원)을 추진 중이다. 제주 트램은 2010년과 2016년 전임 지사 때 경제성 등 이유로 추진되다 2차례 중단됐다. 이번에는 지난해 9월부터 오는 9월까지 5억원을 들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트램 도입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제주도의회에서 경제적 타당성이 없으면 제주 트램을 추진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호주 멜버른 플린더스 역과 트램. 김성룡 기자

호주 멜버른 플린더스 역과 트램. 김성룡 기자

민재홍 철도기술연구원 기획조정본부장은 “트램이 도입됐을 때 대중교통과 노선이 겹치면서 경쟁 구도가 만들어질 수 있고, 노면 위에 또 하나의 교통수단이 추가되면서 혼잡도가 높아지고 사고 위험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