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주택경기 부진·원리금 부담…민간소비 증가세 상당폭 둔화”

중앙일보

입력

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더현대 화장품 매장에서 상품을 고르는 고객들. 연합뉴스

사진은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더현대 화장품 매장에서 상품을 고르는 고객들. 연합뉴스

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주택 경기 부진 등으로 인해 올해 민간소비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은 8일 ‘국별 비교를 통한 소비흐름 평가 및 향후 여건 점검’(BOK 이슈노트)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소비 여건을 가계 소비 여력과 주택경기, 기타 요인으로 구분해 평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민간소비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4.3% 증가, 2015∼2019년 평균(2.6%)을 크게 상회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올해의 경우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소비여건을 점검한 결과 우선 가계의 소득 개선 정도가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노동공급은 크게 늘어난 반면, 노동수요는 상대적으로 크게 늘지 않아 향후 추가적인 고용 증가 및 임금 상승을 통한 소득 개선 정도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년 대비 우리나라 가계의 실질구매력 증가율은 2021년 3.5%에서 지난해 3.0%로 낮아진 뒤 올해 0.7%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또 주요국에 비해 높은 가계부채 수준과 변동금리 대출 비중으로 인해 향후 원리금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면서 소비를 제약할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신규취급액)의 변동금리 비중은 45.7%(지난해 8월 기준)로, 이탈리아(16.7%), 네덜란드(9.6%), 독일(9.0%), 영국(6.0%), 미국(0.5%·이상 지난해 2분기 기준) 등에 비해 매우 높았다.

우리나라의 주택경기가 주요국보다 더 부진한 점 역시 향후 역자산효과와 함께 이사 등을 할 때 수반되는 가전 및 가구 등 내구재 소비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지난해 4분기 소매판매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지만, 가전(-13.3%)과 가구(-17.9%)의 감소 폭은 훨씬 컸다.

보고서는 그러나 우리나라는 주요국과 달리 초과 저축이 계속 축적되고 있어 향후 소비회복을 뒷받침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2019년 저축액과 비교해 이후 누적된 초과저축액은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구당 500만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주요국에 비해 코로나19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시기가 상대적으로 늦어진 데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오히려 초과저축 증가세가 높아졌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 주택경기 부진, 가계소득의 더딘 회복세 등으로 올해 중 민간소비 증가세가 전년에 비해 상당폭 둔화될 것”이라면서도 “그간 축적된 가계저축 등을 감안하면 급격한 위축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자 중 한 명인 오태희 과장은 구체적인 소비 반등 시점에 대해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와 소비심리 간 상관성이 높고, 소비심리와 민간소비 간 동행성도 높다”면서 “하반기 중 글로벌 경기가 반등하면 우리나라 소비도 어느 정도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