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이든, 시진핑에 “북 핵실험 말릴 의무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휴양지 누사두아에서 만나 확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미·중 무역 충돌, 대만·북핵 등 현안을 논의했다.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휴양지 누사두아에서 만나 확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미·중 무역 충돌, 대만·북핵 등 현안을 논의했다.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오후 대면 양자 회담으로 만났다. 두 정상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이 열리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회담을 열고 모두발언에서 협력과 공존을 촉구했다. 두 정상은 이어진 비공개 회담에서 전략적 문제와 우크라이나 사태, 미·중 간 무역 충돌, 대만, 북핵 등을 놓고 양측의 ‘레드라인’을 탐색했다.

백악관은 회담이 끝난 뒤 성명을 내고 “두 정상은 다양한 이슈에 걸쳐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적 행동에 우려를 표명하고, 국제사회의 모든 멤버들이 북한이 책임 있게 행동하도록 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인도·태평양 동맹국들을 방어하려는 미국의 확고한 의지를 강조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미사일 실험을 결정할 때 중국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면서 “나는 시 주석이 북한의 추가 도발을 원하지 않는다고 믿으며, 북한의 추가 도발이 이 지역 내 미국의 주둔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어 “시 주석에게 북한에 장거리 핵실험을 해선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할 의무가 있고, 북한이 그럴 경우 미국은 더욱 방어적인 어떤 행동을 해야만 하는데 이는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핵전쟁이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되고 핵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없으며, 우크라이나에서 핵무기 사용이나 사용 위협에 반대한다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성명은 또 “바이든 대통령은 신장과 티베트, 홍콩에서의 중국의 행위와 인권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며 “대만과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은 변함이 없고, 미국은 양측이 현상을 일방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반대하며 세계는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대만에 대한 중국의 강압적이고 점점 공격적인 행위에 대해 반대하며, 이는 대만해협과 더 큰 지역에서 평화와 안정을 해치고 세계 번영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대만 문제와 관련해 “나는 중국이 대만을 침략하려는 어떠한 즉각적인 시도도 없다고 생각하며 대만에 대한 우리의 정책이 전혀 바뀌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만에 공격행위 반대” 시진핑 “대만이 첫 레드라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테이블 가운데)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테이블 가운데)이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섬에서 확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두 정상 외에는 모두 마스크를 썼다. [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테이블 가운데)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테이블 가운데)이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섬에서 확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두 정상 외에는 모두 마스크를 썼다. [AFP=연합뉴스]

‘대만해협 긴장으로 인한 새로운 냉전을 피할 수 없게 됐냐’는 취지의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은 “냉전이 있지 않을 것이라고 절대적으로 믿는다”면서 “나는 우리가 양안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기를 원한다고 분명히 했기에 (냉전으로) 갈 필요가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관계에 대해선 “우리는 힘차게 경쟁할 것이지만, 나는 갈등을 추구하는 게 아니며 나는 이 경쟁을 책임감 있게 운영하려고 한다”고 했다.

시 주석은 대만 문제가 레드라인이라고 강조했다고 중국 정부가 발표문에서 밝혔다. 시 주석은 “대만 문제는 중국 핵심 이익의 핵심이자 미·중 관계의 정치적 기초 중 기초이며, 미·중 관계가 넘을 수 없는 첫 번째 레드라인”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체제 경쟁도 선언했다. 그는 “미국은 자본주의를 추구하고 중국은 사회주의를 추구하며 양국은 서로 다른 길을 가고 있다”며 “이 차이는 오늘 막 생긴 것이 아니며 이후에도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시 주석은 “충돌과 전쟁에 승자는 없으며, 복잡한 문제에는 간단한 해결 방법이 없고, 대국 간 대결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며 “중국은 시종 평화라는 편에 섰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미국, 나토, 유럽연합과 러시아와의 전면적인 대화에 들어갈 것을 희망했다. 중국 측 공식 발표에는 미국 측과 달리 북핵 문제가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바이든·시진핑 “반갑다” 8초간 악수

현지시간 이날 오후 5시41분쯤 시작된 정상회담은 3시간12분 정도 진행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미·중은 경쟁이 충돌로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차이점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며 “세계는 미·중이 기후변화에서 식량안보에 이르는 세계적인 도전에 대처하고 함께 협력할 수 있도록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개인적으로 당신(시 주석)과 나의 소통 라인을 유지할 것이다. 우리 두 나라는 함께 (사안을) 다룰 기회가 너무 많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시 주석도 모두발언에서 미·중 관계의 회복을 언급했다. 그는 “인류 사회는 전에 없는 도전에 직면했으며 세계가 갈림길에 섰다”며 “대통령 선생과 함께 세계 평화를 위해 희망을 키우고, 세계 안정을 위해 믿음을 더하며, 공동 발전을 위해 동력을 보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중 관계를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 궤도로 되돌려 두 나라에 이롭고, 세계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고 양국 관계의 회복을 주장했다. 시 주석은 “정치가는 본국의 발전 방향을 생각하고 명확히 하면서, 또 타국 및 세계와 공존하는 길을 생각하고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세계가 ‘냉전 2.0’ 시대에 돌입한 이후 처음 열리는 G2 회담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회담을 1차 냉전 당시 미·소 정상회담과 비교했다. 이번 회담은 또한 지난해 1월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후 시 주석과 처음으로 얼굴을 맞대는 첫 대면 정상회담이기도 하다.

회담 초반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했다. 회담장 앞에서 기다리던 시 주석은 바이든 대통령이 입장하자 환하게 웃으며 “만나서 반갑다”고 인사하고 8초간 악수를 이어갔다. 이번 회담에선 두 정상을 제외하고 미국·중국 측 배석자 전원이 마스크를 착용했다. ‘제로 코로나’ 방역을 고수하는 중국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모두발언선 “충돌 막아야” “공존의 길 생각”

바이든·시진핑 회담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종 불참을 결정하면서 발리 G20의 최대 빅 이벤트가 됐다. 이날 정상회담은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각자 국내 정치적 분기점을 무난하게 넘긴 이후 이뤄지면서 두 정상이 홀가분한 상태에서 열렸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8일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완패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집고 상원 수성에 성공했고, 시 주석도 지난달 20차 당 대회를 통해 3연임을 가능하게 할 1인 집권 체제를 완성했다. 이 때문에 이날 정상회담은 미·중 모두 내부의 정치 상황을 정리한 이후 만나 상대의 의중을 파악하고 양측의 전략을 정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날 회담은 중국 대표단이 머무르는 발리 물리아 호텔에 미국 대표단이 찾아가는 형식으로 열렸다. 회담에는 양국 정상 외에 각각 8명씩 배석했다. 바이든 대통령 좌우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재닛 옐런 재무장관이 자리했고,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 커트 캠벨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 로라 로젠버거 NSC 중국담당 선임국장, 러쉬 도시 NSC 중국디렉터가 배석했다.

중국 측은 시 주석 좌우로 딩쉐샹(丁薛祥)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판공청 주임과 왕이(王毅) 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배석했다. 이어 허리펑(何立峰) 정치국 위원 겸 국가발전개혁위 주임, 마자오쉬(馬朝旭) 외교부 제1부부장, 셰펑(謝峰) 부부장, 뤼루화(呂錄華) 시진핑 외교비서, 양타오(楊濤) 북미대양주 국장,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이 배석했다. 시진핑 1·2기 대미 관계를 막후 지휘했던 양제츠(楊潔篪) 중앙외사위원회 판공실 주임은 자리하지 않았다. 지난달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며 차기 외교부장으로 거론되는 친강(秦剛) 주미 대사도 참석하지 않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