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中 1인당 가처분소득 700만 원? 도농 격차 실제로 줄었을까

중앙일보

입력

차이나랩

차이나랩’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사진 블룸버그]

[사진 블룸버그]

가처분소득, 생산 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 중 소비나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전체 소득에서 세금이나 의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은 제외하고 남은 금액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실질 개인 처분가능소득은 2,177만 원으로 2000년 1,361만 원에서 2021년 약 60% 성장하였다. 한국의 1인당 개인 처분가능소득은 2020년 기준 독일의 66.8%, 영국의 80.2%, 이탈리아의 89.2%, 폴란드의 113.2% 수준에 달했다.

매일경제가 한국은행 가계신용 데이터를 추출해 가계소득과 부채를 분석한 결과, 국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2040만 원이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3.9% 늘었다. 그러나 부채 늘어나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 지난해 2분기 가계부채는 1805조 9천억 원으로 1년 전(1637조 3천억 원)보다 10.3% 급증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72.4%로 역대 최대 수준까지 올랐다. 여기에 물가 급등 및 금리 인상이 겹치면서 소비 축소라는 악재가 계속되고 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OECD 36개국 중 7번째로 높았다. 한국은 코로나 19 이후 주요국보다 가계부채 비율 상승 속도가 가장 빨랐다. 향후 금리 인상으로 이자 상환 부담이 급격히 늘어날 경우 가계 가처분소득 역시 빠르게 줄어들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건(中建)3국 근로자가 지난 5일 허난(河南)농업대학의 기숙사 및 식당 건설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중건(中建)3국 근로자가 지난 5일 허난(河南)농업대학의 기숙사 및 식당 건설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봉쇄, 부동산 침체, 수출 부진 등 겹 시름을 겪는 중국은 어떨까.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3만 5천 위안, 우리나라 돈 약 701만 원을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1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지난 2012년에 비해 1만 8천618위안(371만 5천408원) 늘어난 수준으로 연평균 명목 증가율은 8.8%에 달했다. 가격 측면의 요소를 제외한 실질 증가율은 6.6%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지난해 도시와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 격차가 줄었다는 것이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두 지역 간 비율은 2.50(농촌 주민 소득=1)에 그쳐 2012년에 비해 0.38 하락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폭이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폭보다 지속해서 빨라지는 양상이 나타났다. 탈(脫) 빈곤 관련 정책과 농촌 진흥 전략이 심화한 추진이 도농격차를 줄이는데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만 7천412위안(946만 1천539원)을 기록해 2012년 대비 96.5% 늘었다.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1만 8천931위안(377만 7천870원)에 달해 125.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편 2013~2021년 농촌 주민의 연평균 수입 증가폭은 도시 주민보다 1.7% 포인트 컸다.

[사진 중신망]

[사진 중신망]

중국 중서부 지역의 주민 소득도 비교적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서부는 개혁개방 이후 먼저 개발이 추진된 동부 연해 지역보다 발전이 뒤처진 지역이다. 그러나 중서부 지역의 소득 격차가 10년 전보다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중국 동부·중부·서부 및 동북 지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각각 110.1%, 116.2%, 123.5%, 89.5% 누적 증가했다. 연평균 8.6%, 8.9%, 9.3%, 7.4%씩 늘어난 셈이다. 특히 서부 지역의 1인당 가처분소득 증가폭이 가장 빨랐고 중부 지역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 남서부에 위치한 시짱(西藏, 티베트) 자치구의 경우, 농촌 주민 소득이 지난 10년간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며 7년 연속 전국 1위를 차지했다. 시짱자치구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농촌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1만 6천935위안(약 337만 원)으로 10년 전보다 2.97배 늘었다. 그중 임금소득 6천86위안(121만 원), 순경 연 소득 7천374위안(147만 원), 군 재산소득 768위안(15만 원), 순이자 소득 2천707위안(53만 원)으로 2012년 대비 각각 4배, 2배, 5배, 2.8배 증가했다.

올 상반기 시짱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5천705위안(113만 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1.1%를 보이며 전국 평균 증가율보다 5.3% 포인트 높았다. 한편 시짱 농목민 중 타업종 취업자 수는 2012년 45만 명에서 지난해 69만 3천 명으로 증가했다. 노동 소득 역시 2012년 18억 5천만 위안(3천689억 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58억 1천만 위안(1조 1천586억 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국가통계국은 향후 10년간 중국 1인당 가처분소득이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해 소비 수준 및 소비 능력이 끊임없이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1년 2월 25일 랴오닝성 선양에서 이주노동자들이 길가에서 일자리를 구하고 있다. [사진 AFP]

2021년 2월 25일 랴오닝성 선양에서 이주노동자들이 길가에서 일자리를 구하고 있다. [사진 AFP]

그러나 아직 단정하긴 이르다. 1인당 가처분 소득의 관점에서 보면 농촌 거주자가 도시 거주자보다 현저히 낮은 상황이 여전히 존재한다.

2021년 도시와 농촌, 두 지역 간 1인당 가처분소득 비율은 2.50으로 줄었지만, 글로벌 관점에서 볼 때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전 세계 36개국 도농 간 소득 격차를 조사한 결과 선진국, 개발도상국, 계획경제 국가에서 대부분의 비율이 1.5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 일본, 한국과 같은 일부 선진국 및 지역에서는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이 일반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어떤 기간에는 농촌 주민의 소득이 도시 거주자를 초과한다.

또한 중국의 도농 간 소득 격차는 국민 소득 격차의 약 27%를 차지한 데 비해, 스위스, 핀란드, 캐나다 등 일부 선진국은 10% 미만, 필리핀, 인도 등 개발도상국은 20% 미만을 차지한다.

중국 도시와 농촌의 절대 소득 격차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것도 이유다. 농촌 거주자의 1인당 가처분 소득 증가율은 도시 거주자보다 높을지라도 도시 거주자의 소득 기반이 크기 때문에 연간 증가폭은 여전히 농촌 거주자보다 크기 때문이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도시와 농촌 거주자의 절대 소득 격차는 약 4,000위안에서 약 27,000위안으로 확대되어 거의 6배 증가했다.

가처분 소득 외에도 농촌 지역의 소비 수준이나 공공 서비스 수준, 건설, 사회보장 서비스 수준 등이 도시보다 현저히 낮기에 계층 간 소득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 또 농촌 저소득층의 소득기반이 비교적 안정적이지 않는 등 농촌 지역 내 계층 간 소득 격차 역시 확대되고 있어 농촌 거주자의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간극도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다.

[사진 신화통신]

[사진 신화통신]

한편 지난해 중국의 1인당 소비지출이 2만 4천100위안(481만 601원)을 기록해 2012년보다 1만 2천46위안(240만 4천502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평균 명목 증가율은 8% 수준이며 가격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실질 증가율이 5.9%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나랩 김은수 에디터

[사진 차이나랩]

[사진 차이나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