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尹정부 고위공직자 평균 45억…대통령실 1위 김태효 120억 [재산 공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올 5월 임명된 윤석열 정부 고위 공직자 재산이 공개됐다. 사진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모습. 연합뉴스

올 5월 임명된 윤석열 정부 고위 공직자 재산이 공개됐다. 사진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고위 공직자 49명의 평균 재산은 4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산 신고액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었다.

5월 임명된 고위 공직자 대상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대통령비서실장·수석비서관, 장·차관급 고위 공직자 등 지난 5월 임명된 49명 재산을 공개했다. 재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전체 재산 합산액은 2204억2071만원이다. 평균 44억9838만원이다. 공개재산 목록은 토지와 건물·예금·증권·채권·채무·귀금속(500만원 이상) 등이다. 국민 전체 가구의 실질 순자산(4억 441만원·2021년 기준)을 훨씬 웃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300억원 가까이 신고한 공직자도

신고 재산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92억44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김 부위원장은 209억 상당의 비상장주식 21만687주(중앙상선)를 보유하고 있다. 중앙상선은 김 부위원장 가족회사로 알려져 있다. 현재 직무 관련성 심사가 진행 중이다. 김 부위원장 다음으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160억4305만원),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120억6465만원)이 많았다.

신고 재산 액수별로 보면, 10억원 이상~50억원 미만이 31명이다. 이어 5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이 12명으로 뒤를 이었다. 100억원 이상 고액 재산가도 3명 있었다.

이날 재산이 공개된 고위 공직자 중 16명(32.7%)이 다주택자로 나타났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경기도 성남 분당 야탑동(101.8㎡)과 정자동(170.1㎡) 아파트를 부부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 신고가액은 야탑동 8억4900만원, 정자동 14억7900만원이다.

'하와이' 아파트도 있다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은 부부 공동 소유인 서울 용산 이촌동 아파트(124㎡·24억3700만원) 외 부인 소유인  서울 영등포 여의도동 아파트(51.1㎡·8억6800만원)를 신고했다. 또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세종시 어진동 아파트(84.7㎡·5억3900만원)를 본인 명의로, 충남 천안 동남구 신방동 단독주택을 모친 등과 공동 소유하고 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도 다주택자에 이름을 올렸다. 김 차장 부부는 서울 서초동 아파트(149.2㎡·19억4900만원)와 미국 호놀룰루 사우스스트리트 아파트(97.6㎡·15억2478만원)를 신고했다.

신고 재산이 가장 많았던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도 다주택자다. 부부 명의의 서울 서빙고동 아파트(167㎡·26억2000만원)와 본인 명의의 용산 오피스텔(47.7㎡·5억1746만원)을 두고 있다.

상가를 여럿 보유한 고위 공직자도 있다. 이인실 특허청장은 남편 소유인 12.7㎡~48.2㎡ 규모 서초동 상가 7개를 신고했다. 이 청장은 “사무실 용도”라고 해명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신고자 40% 이상이 '강남 3구' 산다 

고위 공직자 주택은 ‘강남 3구’에 집중됐다. 본인과 배우자가 보유했거나 전세로 사는 주택 44.3%가 강남·서초·송파구 등에 있다. 강남 3구 외 ‘서울’로 범위를 넓히면 70%까지 오른다. 서울 이외 지역으론 경기도 성남(10.1%)과 세종(4.3%)이 많았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현금 부자 1위는 이종호 과기부 장관이다. 본인·배우자·자녀의 예금액을 합치면 120억원에 달한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 부부(55억원)와 한덕수 국무총리 부부(52억원)가 많았다. 49명 공직자 중 예금이 10억원 이상인 경우는 전체 43%인 21명으로 집계됐다. 또 10억원 이상 주식을 보유한 고위 공직자는 전체 12%였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