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38.3% 尹 39.0% 접전…安 단일화 철회 뒤 격차 줄었다 [한국갤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대선을 2주 남겨놓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1%포인트 이내로 좁혀지며 초접전을 벌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23일 발표됐다.

특히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의 단일화 제안 철회로 여파로 상승세를 보이던 윤 후보의 지지율이 주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머니투데이 더300이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에 의뢰, 이달 21일과 22일 성인 101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후보는 38.3%, 윤석열 후보는 39%를 기록했다. 안철수 후보는 9.5%,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3%로 나타났다.

2주 전 조사에 비해 이 후보가 1.4%포인트 오르고 윤 후보가 1.1%포인트 내리면서 지지율 격차가 줄었다. 안 후보는 0.5%포인트, 심 후보는 0.9%포인트 각각 내렸다.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한국갤럽).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한국갤럽).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연령대별로는 윤 후보가 20대(33.5%)에서 이 후보(20.7%)를 여유 있게 앞섰다. 윤 후보는 그러나 나머지 모든 연령층에서 1.4~2.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이 후보는 40대와 50대에서 각각 이전조사보다 5%포인트 이상 상승해 54.5%, 55.6%로 집계됐다. 20대와 60대 이상에서 윤 후보가, 4050에서는 이 후보가 우세한 구도가 뚜렷해졌다. 30대는 윤 후보 36.3%, 이 후보 35.7%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지역별로 보면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서울에서 윤 후보가 강세를 보였다. 윤 후보는 44.6%, 이 후보는 31.4%다. 윤 후보는 다만 지난 조사에서 상승했던 인천·경기(36.1%)와 대구·경북(50.5%)에서는 떨어졌다. 호남 지지율은 8.9%였다. 이 후보는 호남에서 70%대 지지율을 유지했고 대구·경북에서도 28.5%로 올라섰다.

이념 성향별로는 중도층에서 변화가 두드러졌다. 이 후보는 39.4%,  윤 후보는 35.4%를 기록했다. 지난 조사에서는 윤 후보 41.4%, 이 후보 28.9%였다.

윤 후보와 안 후보의 단일화를 가정한 3자 대결에서는 우선 이재명 39.9%, 윤석열 44.7%, 심상정 7.0%로 조사됐다. 지난 조사와 비슷하다. 하지만 안 후보로 단일화할 경우에는 이재명 40.5%, 안철수 40.3%, 심상정 7.0%였다.

이번 대선의 성격을 묻는 말엔 정권교체 응답이 54.2%로 정권유지 37.6%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지 후보와 무관하게 당선 예상을 묻자 45.4%가 윤 후보라고 답했다. 이 후보는 36.7%로 오차범위 밖이다.

안 후보의 단일화 제안 철회에도 불구하고 단일화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72.9%, 국민의당 지지층에서는 58.3%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587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1014명이 응답했으며 응답률은 17.2%다. 유·무선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고 표본은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와 유선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