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항의 안한다던 황희 "이럴 경우 대비해 한복 입고 참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4일 오후 열린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 개회식의 중국 국기 입장에서 한 여성(노란원)이 한복을 입고 있는 모습(왼쪽사진)과, 한복을 입고 개회식을 관람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경록 기자, [사진 문체부]

지난 4일 오후 열린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 개회식의 중국 국기 입장에서 한 여성(노란원)이 한복을 입고 있는 모습(왼쪽사진)과, 한복을 입고 개회식을 관람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경록 기자, [사진 문체부]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복이 등장할 경우를 대비해 한복을 입고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베이징 올림픽 정부 대표단 단장인 황 장관은 6일 연합뉴스에 “개회식 예고 영상에 한복이 등장한다는 소식을 출국 전에 듣고 혹시 몰라서 한복을 준비해 갔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대표인 내가 한복을 입고 개회식에 참석함으로써 한복은 한국의 전통의상임을 알린 것”이라며 “개회식에 한복을 입고 간 것이 무언의 항의 표시가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개회식 한복 등장에 정식으로 항의하지 않았다는 비판에 대해 황 장관은 “정부 대표단 단장 자격으로 방중한 상황에서 신중할 수밖에 없다”며 “중국 정부가 한복이 중국 것이라고 주장한 적이 없는 상황에서 공식 항의를 할 근거가 없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5일 황 장관은 한복 논란과 관련해 항의할 계획이 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오해 소지가 생길 수 있다”며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소수 민족이라고 할 때는 그 민족이 하나의 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경우를 주로 말한다”며 “한국은 (중국) 바로 옆에 세계 10위권 큰 나라로 존재하고 있는데 양국 간 좋은 관계에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일 중국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개회식에는 중국의 소수 민족 복식을 한 공연자들과 한복을 입은 공연자가 등장했다.

맥락상 중국 55개 소수 민족 중 하나인 조선족의 대표 복식으로 한복이 등장한 것이었으나, 국내에서는 중국이 올림픽을 계기로 한복의 기원이 중국임을 주장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