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베트남 학자는 왜 한국의 다산학 연구자에 꽂혔나

중앙일보

입력

다오 부부 베트남사회과학한림원철학원 연구원이 현암 이을호의 '한국철학사 총설'과 자신이 베트남어로 번역한 책을 들고 있다. 유성운 기자

다오 부부 베트남사회과학한림원철학원 연구원이 현암 이을호의 '한국철학사 총설'과 자신이 베트남어로 번역한 책을 들고 있다. 유성운 기자

 "베트남에서는 퇴계와 율곡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에 왔더니 다양한 사유를 남기고 정리한 철학자들이 정말 많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다오 부 부 베트남 사회과학한림원철학원 연구원(38)은 유창한 한국어로 말했다. 전남대 방문연구원으로 한국에 머물고 있는 그는 현암 이을호(1910~1998) 선생의 『한국철학사 총설』을 번역해 최근 베트남어로 출판했다. 현암은 다산 경학 연구의 개척자이자 사상의학을 재정립한 것으로 평가받는 학자다. 전남대 철학과 교수, 국립광주박물관장 등을 역임했고 『다산학의 이해』, 『다산학입문』의 저서를 남겼다.  다산 정약용에 대한 연구를 개척한 뒤 자신의 '한사상'을 정립해 후대 한국 철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정작 한국인에게는 익숙한 이름이 아닌 것도 사실이다. 그럼 베트남의 젊은 철학자는 왜 현암의 책을 번역하기로 했을까. 그는 "베트남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베트남의 전통 사상의 유사성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현암의 책은 근대 이후 한국 철학의 독창성과 철학사를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베트남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다오 부 부 베트남사회과학한림원철학원 연구원 인터뷰 #"한국 철학, 베트남에서도 관심"

그를 특히 매료시켰던 것은 사상의학과 신종교에 대한 연구다. "한국에서는 현암이 다산학을 정립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이제마의 사상의학을 한국적 유교철학의 발전으로 해석한 것과 동학·대종교·원불교 등 근대 한국에 나타난 신종교에 대한 연구가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베트남 현지에서 대학시절 동방학을 전공한 그가 한국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양국 역사의 유사성이 계기였다. 중국의 주변 국가로서 유교와 한자를 받아들이고, 중앙집권적 국가를 세웠으며, 각각 일본과 프랑스라는 제국주의 국가에게 국권을 빼앗긴 점 등이다. '한국 근대기의 인본사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한국이 근대 이후에도 현암 같은 학자들이 주체적으로 유학을 해석해 독자적 철학을 발전시킨 것처럼 베트남도 비슷한 학자들이 많이 나왔다"며 "근대기에 많은 신종교가 등장한 것도 유사하다"고 말했다.

이을호 전 전남대 교수 [중앙포토]

이을호 전 전남대 교수 [중앙포토]

차이점은 없을까?
그는 "베트남의 유학이 조금 더 실용적 분위기가 있다"며 "한국처럼 명분이나 도덕보다는 사회에 실질적 도움을 준다는 측면에서 연구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 다소 힘들었던 개념이 하늘[天] 이다. 베트남 유학에서는 '천명'이나 '천벌' 같은 개념이 없다. 그보다는 가족의 의미가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베트남의 국민 영웅인 호치민이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애독했다는 설에 대해서 그에게 물어봤다. 다오 연구원은 "그가 『목민심서』를 읽은 것은 맞다. 그런데 호치민은 프랑스, 소련, 홍콩 등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책을 읽었다. 아마도 중국에 있을 때 그 책을 읽은 것 같은데,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거나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10년간 현암 이을호 선집 27권 중 11권을 번역할 계획이다. "한국 철학은 매우 매력적인 세계"라며 "앞으로 K팝처럼 한국 철학이 베트남에서 많이 알려지고, 인기 있는 학문이 되었으면 좋겠다"며 웃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