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시장도 수요자 우위로…2년여만에 '공급>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2021.12.8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2021.12.8 [연합뉴스]

최근 전세 수요가 감소하면서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가 약 2년 2개월 만에 처음 100 이하로 떨어졌다. 매매에 이어 전세 시장도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가격동향조사 시계열 통계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6일 기준)가 99.1로 지난 2019년 10월 이후 26개월 만에 100 밑으로 떨어졌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크게 오른 데다 신규 전세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전세 수요가 늘어났던 예년의 시장 상황과는 달리 전세 이동 수요가 더욱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 추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 아파트 전세수급지수 추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서울 권역별로 전세수급지수를 살펴보면 도심권(용산·종로·중구) 100.0, 동북권(성동·광진·노원·도봉·강북) 99.8, 서북권(은평·서대문·마포) 98.0, 서남권 100.4,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97.0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전셋값도 안정되고 있다. 이번 주 서울 전셋값 상승률이 0.10%로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역시 100 이하를 밑돌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주(98.0)보다 떨어진 96.4를 기록했다. 경기 지역은 98.4로 지난주(99.5)에 이어 2주 연속 100 이하다.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지난주 100.1에서 이번 주 99.2를 기록하며 지난해 6월 22일(99.9) 이후 약 1년 반 만에 기준선 밑으로 하락했다. 특히 부산(98.6), 대구(88.7), 울산(97.3), 세종(88.1) 등에서 매수 심리가 눈에 띄게 위축된 모습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