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권혁재의 사람사진

'우리 국화의 아버지' 국야농원 이재경 대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권혁재 기자 중앙일보 사진전문기자
이재경 대표가 우리 자생 국화에 빠져 산 게 어언 44년이다. 없어지는 것은 복원하고, 더 나은 것을 만드는 기쁨에 스스로 '들의 국화'를 자처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이재경 대표가 우리 자생 국화에 빠져 산 게 어언 44년이다. 없어지는 것은 복원하고, 더 나은 것을 만드는 기쁨에 스스로 '들의 국화'를 자처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인천 국야농원의 신지식 임업인 이재경 대표의

호가 국야(菊野)다.
 호를 ‘들국화’라 지을 정도로
그는 우리 자생 국화에 빠져 산다.

그가 빠진 건 자생 국화를 복원하거나 새
품종을 만드는 일이다.
지금까지 그가 공식 등록한 자생 국화 신품종만
44종에 이를 정도다.
이는 국내 최다 기록이며,
각 품종 앞에 그의 호인 국야를 붙인다.

이재경 대표가 육종한 '국야선녀'는 〈2021년 정원식물 전시 및 품평회〉에서 올해의 정원식물 종합 우수상을 수상했다. 사진 이재경 제공

이재경 대표가 육종한 '국야선녀'는 〈2021년 정원식물 전시 및 품평회〉에서 올해의 정원식물 종합 우수상을 수상했다. 사진 이재경 제공

이를테면 ‘국야설화·국야수율’같은 식이다.
더욱이 이 두 품종은 멸종 위기 흰감국을
그가 복원·개량한 품종이다.
이 국화 추출물로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을 만들어 팔고 있다.

멸종 위기 흰감국을 이 대표가 복원하고 개량한 국야설화다. 아모레퍼시픽이 이 국화 추출물로 고급 화장품을 개발하고 시판했다.

멸종 위기 흰감국을 이 대표가 복원하고 개량한 국야설화다. 아모레퍼시픽이 이 국화 추출물로 고급 화장품을 개발하고 시판했다.

이러한 육종 공로로
이 대표는 2002년 신지식 임업인으로 선정되었다.

그가 들려준 육종가로 살아온 삶은 이러하다.
“1977년부터 우리 국화의 향기와 색에 매료되어
백두산·금강산·한라산은
물론 전국의 산과 섬을 수없이 누볐어요.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없어지는 것은 살리고,
더 나은 것을 만들어 내는 기쁨에
44년간 육종에 매달려 온 겁니다.
사실 육종가는 불확실한 미래와 싸우는 사람입니다.
서로 다른 꽃과 꽃의 교잡으로
어떤 품종이 나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그러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맘에 드는 품종을 만든 기쁨은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이재경 대표가 육종 중인 해국. 색, 생김, 크기는 물론 향기까지 다양하다.

이재경 대표가 육종 중인 해국. 색, 생김, 크기는 물론 향기까지 다양하다.

이래서 주변에선 그를
‘우리 국화의 아버지’라 부르기도 한다.
요즘 그는 새로운 꿈을 꾸며
육종에 힘쓰고 있다.

그건 백두산 바위구절초와
한라구절초를 교잡한
‘통일구절초’를 만드는 일이다.

이재경 대표가 육종 중인 백두산 바위구절초. 한라구절초와 교배가 된 꽃은 흰 봉투로 씌어 있다.

이재경 대표가 육종 중인 백두산 바위구절초. 한라구절초와 교배가 된 꽃은 흰 봉투로 씌어 있다.

이재경 대표가 통일구절초를 만들기 위해 육종 중인 한라구절초.

이재경 대표가 통일구절초를 만들기 위해 육종 중인 한라구절초.

그가 지난 6년 동안 부단히 실험해왔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한 품종이다.
가장 큰 난제는
두 꽃의 개화 시기가 다르다는 점이다.
백두산 바위구절초는 봄에,
한라구절초는 가을에 꽃피기 때문이다.

이재경 대표는 화단이나 길가에서 서양 국화가 아닌 자생 우리 국화가 피기를 늘 꿈꾼다.

이재경 대표는 화단이나 길가에서 서양 국화가 아닌 자생 우리 국화가 피기를 늘 꿈꾼다.

그래도 그는 자신하며 말했다.
“내년이면 ‘통일구절초’가 우리 땅에 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