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박쥐는 색맹이지만 자외선으로 물체 식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4면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도 박쥐는 공중을 날아다니는 먹이를 놓치는 법이 없다. 초음파를 보내 되돌아오는 신호를 이용해 곤충의 위치를 파악하고 한치의 오차도 없이 잡아챈다. 박쥐가 갖고 있는 기이한 능력 중 하나다.

육식성 박쥐가 초음파로 먹고 산다면 식물을 먹고 사는 박쥐는 어떻게 연명할까. 하늘거리는 식물을 자신의 먹이로 인식하는데 초음파로는 부족할 것이란 호기심이 과학자들을 자극했다. 시각기관은 미미하게 존재하지만 그 기능이 어디까지인지도 이들의 관심사였다.

아마존 일대에서 보라색 열매를 먹고 사는 창코박쥐류에서 그 비밀이 밝혀졌다. 독일 뮌헨대 요크 빈터 박사팀은 '네이처' 최근호에 박쥐가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는 포유류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 등 극소수 종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됐다.

빈터 박사팀은 창코박쥐류에 다양한 영역의 빛을 쪼여 어느 영역에서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알아봤다. 실제 이들 박쥐가 즐겨먹는 보라색 열매는 자외선을 발산하고 있어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는 감각기관이 따로 있을 것으로 가정했다.

여러가지 빛의 영역 중에 역시 자외선과 녹색 영역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더 나아가 박쥐가 색깔을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본 결과 박쥐는 색맹으로 밝혀졌다. 결국 하나의 감각기관이 자외선부터 가시광선 영역을 동시에 인지한다는 것이다.

빈터 박사는 논문을 통해 "자외선 영역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야행성 소형 동물의 경우 자외선에 반응하는 별도의 감각기관을 갖고 있어 이번 박쥐의 감각기관과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박쥐는 해가 뜰 무렵과 해가 질 무렵 보라색 열매를 찾아다닐 것으로 여겨진다. 이 때가 자외선 방출이 가장 강한 시간대로, 가시광선의 방해를 적게 받으면서 보라색 열매를 찾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인간이 자외선 영역을 보려면 특수한 장비를 이용해야 한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