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익대표」 이견… “불발”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범민족」 평양예비회의 어떻게 되나/“자문위원에 포함” 전민련 절충안 무산/타협돼도 북한서 수용안할 듯
오는 6일 평양에서 열릴 범민족대회 3차 예비회의는 우리측 대표들이 불참한 가운데 북한및 해외동포대표만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전민련이 3차 예비회의 대표에 우익단체등 각계각층이 포함돼야 한다는 정부의 요구를 거부했고 정부 역시 우익대표를 자문위원으로 참여시키겠다는 전민련의 절충안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전민련이 31일 제시한 타협안은 3차 예비회의 대표단도 기존의 재야 6인대표로 하되 약3명정도의 자문위원단을 별도로 구성해 여기에 우익단체대표들을 포함시켜 함께 방북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평양 3차 예비회의와 오는 13∼17일의 판문점 범민족대회에 우익단체를 포함한 각계각층 인사의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는 원칙을 변경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평양예비회담은 전민련 단독으로 보내지 않겠다는 생각이 확고하다.
전민련으로서는 지난달 27일 아카데미 하우스에서 열린 제2차 예비회의때 3차회의때부터는 우익단체대표를 참가시키겠다고 한 약속을 일방으로 뒤집을 수 없어 낸 편법인데 설사 정부가 수용한다 해도 북한측이 어떻게 나올지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북한은 30일 평양방송을 통해 『남조선 당국이 새삼스럽게 각계각층론을 들고나와 평양예비접촉에까지 끼어들려는 것은 절대로 묵인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때문에 전민련은 각계각층을 포함시키자니 북한이 반대할 형편이고 포함시키지 않자니 우리 정부가 방북 승인을 해주지 않을 것이 뻔해 진퇴양난에 빠진 셈이다.
전민련의 우익단체대표들을 자문위원에 넣겠다는 절충안에 대해 통일원 당국자는 『각계각층이 대표로 참여해야 방북을 허용할 수 있다는 정부입장은 불변』이라면서도 『대표단 구성은 당사자가 알아서 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것은 민간차원의 대회에 정부가 왜 간섭하느냐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대표단 구성은 그쪽에서 알아서 하고 방북승인은 정부가 알아서 한다는 역할분담을 명백히 한 것이다.
아울러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58개 우익단체가 자문위원으로라도 참여하겠다고 나서고 북한이 이를 수용할 경우를 대비한 제스처이기도 하다.
그러나 참가희망단체대표들이 예비회의대표가 아닌 자문위원단 자격으로 방북 대표단에 끼겠다고 나올 가능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우익단체들은 기본적으로 반공의식이 강하고 전민련등 재야를 보는 눈이 곱살스럽지 않다.
때문에 범민족대회 참가단체협의회의 실무대표 6명은 전민련의 절충안이 전해진 31일 저녁 회의를 열고 대표단이 아닌 자문위원으로는 참가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따라 전민련의 절충안은 사실상 무산됐으며 정부가 입장을 바꾸지 않는 한 3차 예비회의 참가자체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민련은 지난달 27일 2차 예비회의에 북측 대표단이 참가하지 못한 것이 정부의 「방해책동 때문」이라고 비난하며 경화된 입장을 보이고 있어 정부와 효과적인 대화는 점점 멀어져가는 인상이다.
그러나 전면련이 지난달 27일 2차 예비회의때와 같이 정부측 의사를 수용하는 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다. 다만 그럴 경우 북한의 태도가 문제인데 북한은 기본적으로 교류를 달가워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선전적 꼬투리를 찾고 있다.<조현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