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한 선박 추적 중, 군사장비 탑재 의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 여성들이 19일 콘돌리자 라이스 방한에 반대하는 촛불시위에 함께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최근 출항한 한 북한 선박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에서 금지하고 있는 장비를 싣고 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고 19일(이하 현지시간) 미 정부 관계자 2명이 CNN에 밝혔다.

한 미군 관리는 문제의 선박이 과거 군수장비를 실어 나른 경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은 어떤 화물을 싣고 있는지 알 수 없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미 정부관리 또한 문제의 북한 선박이 평양 남서쪽의 항구를 출발했다고 전했다.

이 관리는 미 정보 당국이 문제의 북한 선박이 출항한 사실을 확인한 후 이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아직까지 이 선박이 금지화물을 싣고 있다는 증거는 밝혀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제의 선박이 반드시 군수장비를 싣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이 관리들은 문제의 선박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하고 있다는 증거가 전혀 없기 때문에, 미국이 이 선박에 승선하거나 선박의 화물을 검색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에서는 대량살상무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 관리는 이 선박의 화물이 항구에 입항되면, 미 정부가 이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선박의 도착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북한의 9일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고조되며, 유엔 안보리는 지난 14일 북한에 대한 제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번 결의안에서는 북한과의 핵무기 기술 및 고성능 재래 군사장비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북한 출입 선박 화물에 대한 검색을 촉구하고 있다.

중국은 북한 출입 선박에 승선해 화물을 검색하는 조치는 도발적인 행위라며, 이를 이행할 것을 거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북한 출입 트럭 화물에 대한 검색은 강화했다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로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탕자쉬안 국무위원.
19일 서울에서 한-중-일 3국 외교장관 회담을 가진 아소 다로 외상, 라이스 장관, 반기문 장관(왼쪽부터).

한편, 19일 중국의 탕자쉬안 특사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만났다. 이는 북한이 지난주 핵실험을 발표한 이후 김 위원장과 중국 외교진과의 첫 공식 회담이었다.

아직까지 탕 특사와 김 위원장의 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전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미국의 한 고위관리는 탕 특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안 1718호에 따라 북한에 매우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탕 특사의 방북은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중국 방문에 하루 앞서 이뤄진 것이었다. 라이스 장관은 20일 베이징에서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갖고 대북 결의안을 이행하기 위한 최상의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라이스 장관은 중국 방문에 앞서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양국 정상 및 외교장관들과 회담을 가졌다. 라이스 장관은 중국 방문을 마친 뒤 20일 러시아도 방문할 계획이다.

라이스 장관은 19일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함께한 기자회견에서 '북한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최상의 성과는 그들이 자신들의 의무를 깨닫고 아무런 조건 없이 6자회담에 복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는 계속해서 협상의 길이 열어놓을 수 있길 바란다. 우리는 위기상황이 고조되길 바라지 않는다.'

한편, 라이스 장관은 일본 방문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 방문에서도 미국의 안보공약을 다시 한번 강조했으며,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전면적인 이행과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촉구했다.

북핵 6자회담에는 남북한을 비롯해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이 참가하고 있다

라이스 장관은 19일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실시할 경우 상당히 심각한 결과가 초래될 것이라고 밝혔다.

부시 대통령 또한 18일 북한이 핵물질을 외부로 이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질 경우 어떤 상황이 발생하게 될지에 대한 질문을 받자 이와 비슷한 답변을 한 바 있다. 당시 대통령은 미국이 이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었다.

19일 연합뉴스는 정부가 1998년 시작된 금강산 관광사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연합뉴스는 한국 정부가 자국 항구에 정박하는 북한 출입 선박에 대한 화물 검색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통일부는 여러가지 계획들이 검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최종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미일 양국 또한 19일 라이스 장관과 아베 신조 총리의 회담을 통해 이와 비슷한 내용의 대북 제재에 합의했다.

WASHINGTON (CNN) / 김현정 (JOINS)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