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한국에 PSI 참여 확대 촉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대통령이 19일 청와대에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을 접견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안성식 기자

노무현 대통령은 19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을 청와대에서 접견했다.

노 대통령은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확대를 결정하기 어려운 이유와 금강산 관광.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어렵다는 점을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고 한 배석자는 전했다. 노 대통령은 "북한과의 충돌이 우려돼 PSI 전면 참여는 현재로선 어렵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라이스 장관은 "무력충돌을 야기하지 않고도 핵물질의 이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은 있다"며 "굳이 배에 직접 승선해 검색하지 않더라도 지나가는 배를 향해 멀리서 방사능을 탐지할 수 있는 원격탐지 장비도 있으며 (한국이) 원한다면 이를 제공할 수 있는 협력 메커니즘을 구축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라이스 장관은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문제에 대해서는 "주권국가인 한국이 전적으로 알아서 결정할 문제"라고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열린 반기문 외교부 장관과의 한.미 외무장관 회담에서 라이스 장관은 "북한의 핵무기와 핵물질의 제3국 또는 제3자로의 이전을 막기 위해 한국의 PSI 참여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한 배석자가 전했다. 반 장관은 "한국 사회의 PSI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정치권 논란 등을 고려할 때 현재로선 전면적 참여는 어려우며 시간을 두고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스 장관은 이날 밤 아소 다로(生太郞) 일본 외상, 반 장관과 한.미.일 외무장관회담을 열었다. 3국 장관들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라이스 장관은 20일 중국으로 떠난다.

박승희.이상언 기자 <pmaster@joongang.co.kr>
사진=안성식 기자 <anses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