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무기 팔면 중대한 결과 직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조지 W 부시(사진) 미국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북한이 핵무기를 이란이나 (국제 테러조직인) 알카에다에 팔려고 한다면 중대한 결과(grave consequence)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무기를 이전하려고 한다는 정보를 입수할 경우 우리는 그걸 중단시킬 것"이라며 "누군가에게로 갈 핵물질을 실은 북한 선박과 항공기에 대해 우리는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중대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만 말하겠다"고 답했다.

부시 대통령은 9일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고 선언한 직후 "북한의 핵무기.핵기술 이전을 미국의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미국 행정부가 북한의 핵실험 주장을 사실이라고 사흘 전 공식 확인한 데 이어 부시 대통령이 핵 이전 가능성을 이처럼 강력히 경고하고 나섬에 따라 미국이 북한의 핵 보유를 사실상 인정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편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은 이날 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기지를 방문해 "(북한의 핵실험으로) 핵 문턱(nuclear threshold)이 낮아질 경우 여러 나라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이때엔 핵무기가 테러조직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고 경고했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그는 "국제사회가 일치된 힘으로 핵을 저지하지 않는다면 비교적 짧은 시간에 2개국, 많으면 6개국이 핵무기 보유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핵 보유를 추진할 나라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거명하지 않았다.

럼즈펠드 장관은 "그러한 일은 국제사회가 원하는 것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며 "핵무기와 핵 기술의 확산을 늦추는 유일한 방법은 국제사회의 확고한 단결과 협력이나 우리는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정도의 (국가 간) 협력을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럼즈펠드 장관은 또 "북한의 핵 기술 이전을 차단하는 게 실질적으로 어렵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에 규정된 선박 검색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워싱턴=이상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