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연내 성사 추진/정부 북한ㆍ중ㆍ소와 접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측 주장 3자회담 수용/북한도 최고위 회담 시사/총리회담 성공에 우선 총력
정부는 8월말 서울에서 열릴 남북 고위급회담을 남북 정상회담으로 연결시켜 연내 노태우대통령과 김일성주석간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위해 극비리에 북한 및 소련ㆍ중국관계자들과 접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7일 『정부의 남북한 정상회담 추진은 지난 6월초 한소 정상회담 개최 이후 동서독이 완전통일을 눈앞에 두고 있는등 국제정세가 어느 때보다도 남북한간 화해와 통일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데 힘입은 바 크다』고 밝히고 『최근 북한측이 그동안 단절시켜왔던 남북대화의 재개를 먼저 제의한 데다 7월4일과 5일 잇따라 발표된 북한의 정부ㆍ정당ㆍ단체 대표연합회의와 조평통의 성명에서 비록 과거와 같은 전제조건을 붙였지만 진전된 내용을 담고 있어 성사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4일 7ㆍ4 남북공동성명 18주년 기념성명에서 『고위급회담이 성과적으로 촉진되어 최고위급회담의 길을 터놓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었다.
이같은 정세 판단에 따라 정부는 남북 고위급회담의 성패가 정상회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비밀채널을 통해 막후대화를 벌이는 한편 남북 정상회담 추진을 위한 별도의 극비채널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국무총리가 단장이 되는 고위급회담은 실무적인 남북교류ㆍ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성사시킬 수 있어도 군사ㆍ정치적인 문제는 결국 양측 최고지도자의 정치적 결단과 담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을 중점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번주에 청와대가 중심이 되어 관계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남북대화 및 통일정책 대책회의를 열어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우리측에서 취할 수 있는 몇가지 조치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현재 정부가 구상중인 대응책에는 북한측이 주장해온 남북한 및 미국의 3자회담 수용,팀스피리트훈련의 횟수와 규모를 줄이는 방안,북한이 철폐를 요구하고 있는 국가보안법의 대폭적인 개정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이제는 남북 관계개선과 통일기반 및 여건조성을 위해 냉전시대의 사고와 발상을 바꿀 필요가 있다』며 『북쪽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것은 충족시켜주면서 우리쪽의 요구를 제시해야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남북 정상회담은 평양ㆍ서울 또는 북경 등 제3국에서 가져도 좋다는 입장이며 소련ㆍ중국에도 이미 우리의 의사를 분명히 밝히고 협조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