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9년새 두배 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중남미 국가들이 외채상환에 얼마만큼 부담을 느끼고 있는가 하는 것은 유엔 중남미경제위원회가 집계한 외채 상환부담률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지난 80년 평균 22·1%선에 머물렀던 외채상환 부담률이 89년 들어 아르헨티나가 53·1%, 브라질 30·6%, 페루 36·8%, 멕시코 29·8%를 기록하는등 대다수 중남미 국가들의 외채상환부담은 9년만에 두배가량 늘어났다.
외채상환부담률이 20%를 넘어서면 국가경제가 위기상황이라는 것이 정설이고 보면 중남미 국가들의 경제상황은 사실상 「재정파탄」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따라서 브라질·아르헨티나·페루등이 잇따라 모라토리움(지불유예)을 선언하고있는 것도 이때문이며 일방적인 지불유예선언은 이들 국가들의 국제신용도를 실추시켜 신규차관의 도입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렇지않아도 어려운 경제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신규차관 도입선이 끊기게 됨으로써 투자를 위한 자금조달과 자본재구입을 어렵게 만들어 경제활동을 크게 위축시키고 있고 생필품을 비롯한 대부분의 물자들이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따라서 물가는 폭등하고 자금을 조달치 못하는 중소기업들의 도산이 속출하며 그 결과 일자리를 잃은 실업자들이 날로 늘어 사회가 극도의 혼란에 빠지고 마는 것이 중남미의 현실이다.
다른 나라들도 지불유예선언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이들 국가들 역시 외채상환에 따른 부담이 막중해 상환기간을 넘기지 않기위해 고육지책으로 상환조건이 나쁜 악성차관을 끌어들여 기존의 채무를 변제하는 편법을 사용, 외채액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84년말 현재 중남미전체국가들이 안고 있던 외채총액은 3천6백70억달러였으나 3년뒤인 89년에는 4천1백59억달러로 증가했다.
결국 외채로 인한 국가재정파탄은 정치·경제·사회 각분야에 걸친 혼란을 날로 가중시켜가고 있는 실정이다.
중남미 국가들의 외채문제는 어제오늘에 일어난 일은 아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