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大選자금 족쇄 끊을 방안 찾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최돈웅 의원이 대선에 임박한 시점에 SK 비자금 1백억원을 건네받은 방식을 보면 한나라당은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게 됐다. 검찰이 밝힌 바에 따르면 현금 1억원씩이 들어 있는 쇼핑백 20개를 다섯차례에 걸쳐, 그것도 崔의원 집 지하주차장에서 차 트렁크에 옮겨 실었다. 조폭이나 마피아 영화에서 보던 익숙한 장면이다. 이런 검은 돈이 정상적 대선자금으로 쓰였을 리 없다는 것은 충분히 짐작이 간다. 이런데도 임기응변으로 넘어가려 한다면 한나라당엔 미래가 없다.

현 최병렬 대표 체제는 지난해 대선을 치렀던 이회창 후보와 서청원 대표 체제와는 분명히 거리가 있다. 그렇지만 현 지도부가 검찰의 수사에만 맡긴 채 이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은 용납되기 어렵다. SK가 한나라당이 아닌 李후보만을 보고 돈을 주었겠는가. 더구나 이 돈의 흐름에 개입된 이들도 한나라당 사람들이 아닌가. 내부적 역학관계야 한나라당 내부 사정일 뿐, 국민들은 한통속으로 볼 뿐이다.

한나라당이 선택할 길은 하나뿐이다. 검찰수사와는 별개로 대선자금에 대한 당 차원의 총체적 진실규명에 나서야 한다. 이에는 SK 비자금은 물론 다른 기업들로부터 받은 대선자금이 포함돼야 한다. 이런 바탕 위에서 대대적 정풍과 인적 청산, 통절한 참회와 재발방지의 다짐을 통해 창당에 버금가는 처절한 변신을 해야 한다. 죽기를 각오해야 살 길이 열린다. 그러지 못한다면 한나라당은 결코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할 것이다.

차제에 정치권은 노무현 대통령의 '대선자금 고백' 제의를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대선자금에 관한 한 어느 누구도 떳떳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았는가. '먼저 고백하는 쪽이 손해'라는 식의 정략적 눈치보기만 할 게 아니라 고백할 방법과 검증 수단, 사후 처리 문제 등에 머리를 맞대야 할 때다. 김영삼.김대중 정권 초기에도 이런 방식이 거론됐지만 여권내의 반대로 정식 의제에 오르지도 못했다. 불법 대선자금 문제는 공개화해 털고 가는 단절의 시기를 거쳐야 사라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