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봉천2동 장학회 설립|달동네 주민들 "십시일반" 장학금 7백만원 모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극빈영세촌 사람들이 한푼두푼 돈을 모아 「달동네장학회」를 탄생시켜 마을사랑의 귀감이 되고 있다. 서울시내의 대표적 달동네인 봉천2동의 주민들 1백50여명이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푼푼이 모은 돈 7백만원의 기금으로 5일 오후 「봉천2동 장학회」를 탄생시켰다. 25일 오후3시 봉천2동 봉천예식장에서 벌어진 장학회 결성모임에는 그들의 땀과 애환이 담긴 이 장학회가 날로 번창해져 자라나는 「마을의 새싹」들이 다시는 부모들이 겪었던 가난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바라는 많은 주민들이 참석, 진한 감동을 주었다.
이 「달동네장학회」의 결성이 구체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l월 봉천2동 파출소 김필홍경장(45)이 제안하면서부터.
김경장은 4년동안 이 마을에 근무하면서 가장 시급한 것이 2세들의 충분한 교육조건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지난 65년 수해 때 여의도와 동부이촌동의 수재민들이 8평짜리 무허가 판자촌을 지어 이주하면서 형성된 봉천2동은 관내에 중학교는 커녕 국민학교도 하나없는 교육불모지대.
김경장은 차 길을 몇 번이나 건너 멀리 통학하는 이 동네 학생들의 번거로움은 물론, 가난 때문에 대학진학의 꿈을 포기한 채 절망에 빠져 본드를 마시거나 각종 범죄에 빠져드는 청소년을 접하면서 장학회결성의 뜻을 굳히고 이 동네 강동수동장(54)과 몇몇 동네 어른들에게 이 뜻을 전달, 흔쾌히 동의를 얻어냈다.
이 장학회결성소식은 곧 마을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달, 2월에 구성된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종렬·48·개인사업)에 기금이 답지하기 시작했다.
리어카 고물행상·건축노동자는 물론, 파출부·연탄가게아저씨·구멍가게아주머니 등 달동네 사람들은 무엇에도 비견될 수 없는 그들의 소중한 땀이 배있는 장학금을 작게는 몇 천원에서 많으면 5만원까지 선뜻 희사, 장학회를 추진하는 사람들의 용기를 북돋워주었다.
3평짜리 조그마한 창고에서 연탄가게를 하고있는 김덕환씨(44·봉천2동94)는 달동네 꼭대기까지 지게로 연탄배달을 해 한달 수입이 20만원이 조금 넘는 형편이지만 『2세들을 훌륭히 교육시키자』는 뜻을 전해 듣고는 푼푼이 모아둔 2만원을 기꺼이 내놓아 장학회결성에 참여했다.
정부에서 매달 지급하는 쌀 20kg과 부식비 3만2천원으로 근근히 생활을 해나가는 거택보호자인 이동네 강성봉노인(73)은 중풍으로 거동이 불편한 중에도 부인(70)으로부터 이 소식을 전해 듣고 부식비에서 1만원을 절약, 장학금으로 내놓아 보는 이의 가슴을 짜릿하게 했다.
이 동네에서 월세 방을 얻어 살며 모 술집의 여급으로 나간다는 한모양(24)은 『비록 떳떳이 번 돈은 아니지만 정 많고 따뜻한 마음을 지닌 동네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싶다』 며 5만원을 선뜻 내놓았다.
한평반짜리 복덕방인 복지사를 운영하는 김진섭씨(60·봉천2동산94)는 『가난 때문에 고교를 마치고 직장에 다니는 외아들이 학교를 다닐 때 겪은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며 얼마 되지 않는 수입에서 1만원을 쪼개내기도 했고 파출부로 일해 번 돈을 하루 5백원씩 저축, 1만원을 낸 김선숙씨(41·봉천2동7) 도 눈에 띄었다.
이 동네 강동수 동장은 『현재 7백여만원의 장학금이 모금되었으며 연말까지는 1천만원 이상의 기금이 모일 것으로 예상돼 이 기금을 활용, 성적이 우수하지만 가정형편으로 대학에 진학할 수 없는 주민의 자녀들을 선정, 장학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허가건물 1천여동, 영세민 4백52가구로 상징되는 달동네사람들의 따뜻한 정성으로 만들어진 봉천2동장학회는 날로 각박해지고있는 도시의 공기 속에서 마을사랑과 인정의 훈훈한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