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미소정상회담때 한반도문제 해결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남북한대화·유엔가입 포함/노대통령 방일때 미들러 부시에 요청/소측엔 5월 수교교섭단 방소때 전달
정부는 오는6월 워싱턴에서 개최예정인 미소정상회담이 한반도문제해결의 중대 전환점이 될것으로 보고 이 회담에서 한반도문제가 우리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는 선에서 논의될 수 있게끔 외교력을 집중키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오는5월말 노태우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한뒤 북미순방길에 미국을 비공식방문,부시미대통령에게 한반도문제에 관한 우리정부의 입장과 대소수교의도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미소정상회담에서 한반도문제를 효율적으로 거론해 줄것을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31일 알려졌다.
정부소식통은 31일 노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소련측이 북한에 신예무기 공급을 중단하고 북한의 군비축소에 영향력을 행사해 줄것 ▲한국의 유엔가입에 소측이 유엔안보리에서 거부권행사를 하지말아 줄것 ▲한소수교의 빠른시일내 성사 ▲남북한대화에 북한측의 호응 촉구등 포괄적인 한반도 긴장완화문제를 논의해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관계기사 3면>
정부는 또 오는5월 박철언정무1장관을 단장으로 한 정부수교교섭단의 방소때 소련측에도 이같은 우리측 입장을 충분히 전달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당국자는 『지난해 12월 지중해의 몰타 선상에서 열린 미소정상회담에 앞서 당시 유럽을 순방중이던 노대통령이 부시대통령에게 전화를 통해 한반도문제 거론을 요청한바 있다』고 상기시키고 『한미실무자들간의 의사전달보다는 양국 대통령간의 직접면담을 통해 우리측 입장을 전달하는 것이 보다 확실한 방법이라는 판단이 섰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2월8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소외무장관 회담에서도 사전에 미국측에 우리측 입장을 전달,처음으로 『한반도의 분단장벽이 허물어지고 남북한의 자유로운 왕래가 보장되도록 국제사회가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끌어낸바 있다.
또 정부는 3월중순 파리에서 열린 미소의 아­태지역협의회와 오는4월4일 워싱턴에서 개최될 미소외무장관회담에서도 한반도긴장완화방안이 논의될수 있도록 미국측에 우리입장을 전달한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