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 『그림』은 신인 뜸한 시조계에 참신한 활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2회째를 맞이하는「중앙시조지상백일장」에 응모한 작품들이 질·양 양면에서 수준이 높아진 것을 우선 기뻐한다.
1회때의 배가 넘는 응모작품 중에서 특히 장원을 한 홍순구씨의 『그림』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즐거운 일이었다.
젊음의 재기가 번뜩이는 이 시조는 참신한 신인 빈곤의 시조단에 하나의 활력소가 되리라고 심사를 맡은 두 사람은 입을 모았다. 「파도에 씻긴 가난도 비늘처럼 퍼득인다」와 같은 첫수 종장등의 처리가 뛰어났음을 지적하면서, 앞으로 꾸준한 정진을 당부하고 싶다.
차상을 한 김영흥씨의 작품도 나무랄 데가 없는 가작이었다. 선에 오른 『감나무』외에도 일정한 수준의 작품을 여러 편 보내 왔는데, 다만 아름다운 시어와 형용사 등에 너무 얽매이지 말라고 당부하고 싶다. 아무튼 장원과 차상은 작품수준에서 여타의 응모작보다 뛰어났음을 밝혀둔다.
차하에 오른 이현자씨의 『폭설』은 필요이상의 말의 남용이 일단은 눈에 거슬렸다. 너무 욕심을 부리지 말고 과감히 버리는 일도 시에서는 절대 필요한 일이란 점을 알았으면 싶다. 다음으로 입선에 오른 김찬순씨의『항아리』는 한마디로 가녀리다. 한 편의 시를 마무리하는데는 별 무리가 없으나 그것만으로 전부는 아니란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또『사모사』의 한소리씨, 『석기시대』의 이인순씨, 『붓을 들며』의 박정숙씨등도 말의 남용과 상의 산만성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부탁하고 싶다.
끝으로 『바닷가에서』의 윤혜선씨는 응모한 여러 편이 고만고만한 수준에는 들어 있다. 그러나 습작기에는 다작에 급급하다 보면 한 편도 제대로 건질 수 없는 우를 범하기 쉽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심사위원:윤금초·박시오>
◇알림=월 1회 게재되는 「중앙시조지상백일장」은 독자 여러분에게 항상 개방되어 있습니다. 시조에 관심있는 독자들은 편수와 시일에 관계없이 「서울중구순화동7번지 중앙일보사 편집국 문화부 중앙시조지상백일장담당자앞」(우편번호 100-759)으로 응모자의 주소·성명을 명기, 우송하면 됩니다. 응모된 작품은 시조시인 2명에게 위촉, 장원·차상·차하 각1편 및 입선 5편을 선정, 게재하며 장원·차상·차하에는 메달과 소정의 고료를, 입선에는 고료를 우송하여 드립니다. 월 장원·차상·차하를 대상으로 매년 11월말 작품을 응모받아 연장원을 가리며 연장원에는 시상과 함께 기성시조시인 대우를 합니다. 경선제를 도입, 시조단 등용문으로 자리잡은 「중앙시조지상백일장」에 독자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