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자극하는 발언 자제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왼쪽부터 정몽준 의원, 모리 전 일본 총리, 이홍구 전 총리, 누카가 방위청 장관.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와 정몽준 의원은 31일 오전 일본 도쿄 아카사카 프린스호텔에서 모리 요시로 전 총리(일한의원연맹 회장), 누카가 후쿠시로 방위청 장관(일한의원연맹 간사장)의 초청으로 조찬을 함께하며 양국 관계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이 전 총리는 이날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과 핵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이해하나 한국민들의 우려를 자극할 만한 발언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동북아시아의 안정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이 미국과의 동맹에만 치우치다 보면 아시아 지역과의 협조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일본이 한.중.일 관계를 잘 끌고 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일의원연맹 소속인 정 의원은 "한국은 외교적으로 쉽지 않은 환경에 처해 있는데, 일본은 독도문제에 관해 탐사선을 보내는 등의 행동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누카가 방위청 장관은 "내가 방위청 장관으로 있는 한 문제가 없도록 하겠다"고 화답했다.

누카가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 "일본이 북한의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선 미국과 협력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일본이 단독으로 이 문제를 처리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자신이 말한 '적 기지 공격능력 확보론'이 일본의 '선제 공격론'으로 비쳐 진 것을 해명한 것으로 보인다.

모리 전 총리는 "일본은 (식민지 지배 등의) 역사적 배경을 감안해서라도 한국의 통일 과정에 긍정적 역할을 할 용의가 있다"며 "특히 향후 북한에 대한 (일본의) 경제적 기여와 관련해선 한.일 간에 충분한 협의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한편 이 전 총리는 30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8.15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우익단체 회원들이 자택을 방화한 가토 고이치 전 자민당 간사장을 만나 위로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