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서비스직에 편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직업 안정기관을 통한 여성들의 취업은 생산직·서비스직에 치중돼 있어 구직 여성들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여성개발원이 전국 국립·승공직업 안정기관과 사설 직업안내소등 1백32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밝혀졌다.
직업 안정기관을 찾는 여성 구직자들이 1순위로 원하는 직종은 국·공립 기관의 경우 ▲사무직(70.0%) ▲생산직(17.5%) ▲서비스직(7.5%) ▲전문기술직(5.0%)의 순. 무료사설 기관은 ▲서비스직(43.4%) ▲사무직(30.0%) ▲생산직(23.3%)순 이며, 유료사설 기관은 ▲서비 스직(79·5%) ▲사무직(15.4%) ▲전문직(5.1%)의 순 이다.
그러나 여성을 원하는 구인처는 국-공립·무료사설 기관 모두 1순위로 생산직(52%, 38.9 %)이 많아 실제 이들 기관이 알선하는 직종은 국·공립 기관의 경우 생산직(1순위 46.4 %), 사설 기관은 서비스직(1순위 무료기관 44·4 %, 유료기관 94.8%)에 치중돼 있다.
서비스직이라도 무료기관은 파출부·간병인·탁아모·요리사 등이, 유료기관은 요식업소·다방 등 유흥업소 종업원이 주류를 이뤄 차이가 있다.
이들 기관이 알선한 직종들의 평균 임금은 20만∼25만원이 27.6%로 으뜸. 다음이 5만∼3O만원 (26.2%)이다.
구직 접수는 대개 구직자가 직접 방문해 소정의 양식에 따라 서류를 제출토록 하고 있으며 일단 취업상담을 거쳐 직장알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지도 경력과 상담요원의 업무종사기간이 대체로 짧고(2년 미만 37%) 심지어국·공립기관의 경우 상담요원이 없는 곳도 25%나 됐으며, 직업안내를 위한 직원 재교육도 63.3 %에 그쳐 질적인 직업안내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응답자들은 직업안내 사업의 문제점으로 ▲사업에 대한 인식 및 홍보부족(15·1%) ▲정부의 재정지원 미약 과 창구일원화가 되지 않은 점(14.3%) ▲구인·구직자간의 조건이 맞지 않은 점(13.4%) ▲무허가 안내소에 대한 정부의 규제미흡(13.4%)등을 지적했다.<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