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의음치불가] 임정희 … 록의 파워, R&B의 꺾기, 솔의 감각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노래를 잘 부르기 위한 왕도는 있을까? 물론 대답은 '노'다. 장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많이 불러봐야 실력이 느는 법이다. 예를 들어 록음악을 연습하면 음역 확보에 좋다. 창법 특성상 록은 확장된 소리와 강력하고 폭넓은 성량, 파워 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또한 R&B 솔은 무엇보다 리듬을 잘 타야 그 맛이 살아나는 장르라 창법상 보다 유연한 표현력 강화에 많은 도움을 준다. 온갖 난이도 높은 리듬을 타면서 가사를 정확히 전달해야 하므로 자연히 발음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일반 팝은, 무거운 록과는 달리 소리를 가볍게 내는 연습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음을 스트레이트하게 결이 고운 느낌으로 오래 끄는 연습을 하면 효과적이다.

소위 '노래 고수'들은 무명 시절부터 여러 장르를 두루 섭렵하며 실력을 쌓는다. '사랑아 가지마'와 '흔적' 등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임정희(사진) 역시 노래 속에서 피나는 연습의 내공이 느껴진다. 록.R&B.솔.팝 등 다양한 장르를 거치며 자신을 연마한 것이다.

실력 있는 가수의 첫째 조건으로 라이브에서 성량 좋은 소리를 구사하고 장시간 노래해도 음색의 변화가 없어야 하는 점을 꼽는다. 임정희의 경우 대략 이 조건에 부합한다. 크고 풍부한 성량과 파워는 록에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이미 목소리가 트였다고 할 수 있다. 거기에 1990년대 여성 보컬계의 디바 머라이어 캐리와 2000년대 혜성처럼 등장한 '보컬머신' 알리샤 키스의 장점을 받아들였다. 특히 가사에 악센트를 주는 방식이나 솔 감각, R&B의 '꺾기' 기술에서는 알리샤 키스의 영향을 분명히 느낄 수 있다. 열혈 팬의 입장에서 볼 때 모방을 통한 임정희식 창조의 영역으로 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녀의 또 다른 매력은 비성에서 기술적으로 소리를 잘 눌러 소리의 입자를 응축시킨다는 점이다. 테크닉적으로 난도 높은 비성의 음색임에도 동시에 허스키가 섞여 애절한 호소력으로 다가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마디로 성대만이 아니라 온몸을 사용해 노래하는 울림통 큰 '작은 거인'인 셈이다.

문제는 이처럼 풍부한 감성으로 자신의 느낌에 몰입하다 보니 슬픔이 묻어나오는 감정 표현은 뛰어난 데 비해 종종 가사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분명 한국어 가사임에도 말이다. 임정희의 소리는 잘 뭉쳐져 있고 알차지만 선명한 소리가 아니다 보니 다소 답답하게 들린다. '느낌'에 대한 집착 때문에 '소리'의 명료함을 게을리한다면 그 손해는 클 수밖에 없다. 다음 앨범에선 좀 더 명료한 소리와 가사 전달력을 기대해 본다.

조성진 음악평론가.월간지 '핫뮤직' 편집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