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영세민용 영구 임대 주택 내년 6만채 건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생활이 어려운 도시 영세민을 위한 영구임대주택이 내년에 6만채가 지어진다.
건설부는 5일 내년에 모두 6천9백52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주공에서 4만채, 6개 직할시에서 2만채 등 6만채의 영구임대주택을 짓는 계획을 확정했다.
이같은 규모는 올해의 4만 가구(주공 3만, 6개 직할시 1만)보다 50%(2만 가구) 늘어난 것이다.
내년도 영구임대주택계획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1만9천6백 가구를 비롯해 부산 1만2천1백 가구, 대구 7천3백 가구, 인천 4천6백 가구, 광주 4천8백 가구, 대전 7천 가구 등 6개 직할시 내에 5만5천4백 가구가 착공되며 나머지 4천6백 가구는 경기도에 1천3백 가구, 경남에 6백 가구, 제주에 5백 가구, 전남·전북·경북·충남에 각 4백 가구, 강원 및 충북에 각 3백 가구씩이 지어진다.
영구임대주택은 전용면적기준 7, 9, 12평으로 지어져 생활보호대상자 및 의료부 조자(보건사회부의 생활보호법 대상자)를 대상으로 보증금 1백만∼2백 만원에 월세 3만∼4만원으로 영 임대된다.
그러나 전국에는 현재 6개 직할시에 23만 가구를 포함, 모두 1백6만 가구의 생활보호대상자들이 있어 이들에게 살집을 공급할 임대주택사업은 92년 이후에도 계속돼야할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