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劉 전차관 감찰내용 공개 할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진용(劉震龍) 전 문화관광부 차관에 대한 경질 사유를 둘러싼 논란이 유 전 차관의 계속되는 일부 언론 인터뷰를 통한 '폭로성 주장'과 청와대측의 반박으로 진실공방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청와대가 유 전 차관의 경질사유를 "정책관련 직무 해태때문"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지만, 유 전 차관은 "청와대의 '인사청탁' 거절 때문"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자신에 대한 민정수석실의 감찰이 '인사청탁을 안들어준 배경'에 집중됐다고 주장하며 e-메일 답변서 공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정태호(鄭泰浩)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기자들과 만나 "정무직 공무원에 대한 인사는 정무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유 전 차관의 주장을 바탕으로 한) 언론보도에 일일이 대응할 필요를 못 느낀다"고 공식적인 대응을 자제했다.

하지만 청와대 한 관계자는 "정무직 출신으로 자신이 경질된 이유에 대해 자숙하지 않고 저런식으로 떠들고 다닌 것이 경질 사유감 아니냐"고 불쾌감을 피력했다.

청와대는 일단 유 전 차관의 주장에 공개적 대응을 자제하면서도, 그의 일방적 주장이 계속될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비공개 원칙을 견지해왔던 민정수석실의 감찰내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민정수석실의 '인사청탁' 집중조사설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다"고 일축했다.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감찰조사 목적은 신문유통원 문제가 핵심이었는데 여러 단체들로부터 진정이 들어왔기 때문이었고, 그밖에 유 전 차관에 대한 이런저런 얘기들이 있어 감찰조사를 벌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실도 신문유통원 업무에 관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함께 조사 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인사청탁을 거절해 청와대 조사를 받았다'는 유 전 차관의 주장에 대해 "신문유통원 등 직무관련 사항이 조사의 주 대상이었고, 인사 관련 부분은 전체 조사의 30분의 1이나 될까말까한 극히 지엽적 문제였다"며 "그런데 본인이 '인사문제때문에 조사하는 것 아니냐'는 식으로 과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은데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민정수석실은 조사결과 신문유통원 문제는 유 전 차관의 지휘책임을 물어야 할 사안이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한다.

유 전 차관이 조사과정에서 제기한 인사문제는 사실확인 차원에서 홍보수석실 관계자를 대상으로도 자체점검을 벌였으나, '인사청탁'으로는 볼 수 없으며 '정상적인 인사협의' 과정으로 결론을 내렸다는 것.

유 전 차관이 아리랑 TV 부사장직에 '도저히 급(級) 안되는 사람을 청탁해왔다'고 주장한 정치인 출신은 이해찬(李海瓚) 총리시절 메시지기획비서관과 정무3비서관을 지낸 K씨로 이백만(李百萬) 홍보수석은 메시지기획 등 공보업무를 담당했기 때문에 '인사협의' 차원에서 K씨를 문화부와 아리랑 TV에 추천했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유 전 차관이 '인사청탁' 관련 조사를 받은 증거로 공개할 수 있다고 밝힌 공직기강비서관실로 보낸 e-메일 답변서에 대해서도 민정수석실은 "우리쪽에서 보내라고도 안했는데 본인이 우리한테 e-메일을 보낸 것"이라며 "공개한다고 해도 별 문제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향후 청와대 대응 방향에 대해 "청와대가 정무직 인사에 대한 사유를 일일이 세부적으로 밝히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정무직 인사는 인사 재량권자의 여러 판단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