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콜라·펩시, 인도서 쫓겨날 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미국의 상징 콜라가 인도시장 진출 29년 만에 퇴출 위기에 처했다.

인도 남부 케랄라주(州)는 10일 코카콜라와 펩시코 인도법인이 생산하는 청량음료의 생산과 판매를 금지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사건의 발단은 인도 전역을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농약 콜라' 보고서. 지난주 뉴델리와 과학환경센터는 인도 12개 주에서 판매되는 코카콜라와 펩시의 57개 제품의 샘플 성분을 분석한 결과 농약 잔여물이 허용치보다 24배나 높게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구자라트주와 마디야프라데시.라자스탄.샤티스가르주 정부는 즉각 공공기관과 학교에서 콜라 판매를 금지했다. 인도 대법원도 인도코카콜라와 펩시콜라에 6주 내에 콜라를 포함한 모든 탄산음료 제품의 정확한 성분을 공개하라고 명령했다. 두 회사가 법원 명령에 따르지 않을 경우 인도 전역에서 이들 제품에 대한 생산.판매를 전면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코카콜라와 펩시는 일간지에 광고를 내고 "모든 코카와 펩시 제품은 국제 기준에 적합하다. 정치적 목적을 가진 몇몇 단체가 허위 사실을 폭로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여론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이다.

1970년대 이후 꾸준히 인도시장을 공략해온 두 회사는 90년대 초 어렵사리 인도시장에 정착했다. 웰빙 바람을 타고 미국과 유럽.아시아 시장에서 탄산음료가 배척당하자 인구가 많은 중국과 인도에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특히 인도 시골 지역에 대규모 공장과 배급망을 확보, 싼값에 콜라를 판매함으로써 소비자들을 유인한다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인도 곳곳에 콜라 공장이 들어서면서부터 환경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지하수 고갈로 인한 물부족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는가 하면 코카콜라가 공장에서 나온 오염물질을 몰래 버리다 적발되기도 했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