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차라리 전국민에 20만원 지급”… 80%에 25만원과 총액은 비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부동산 시장법 제정’ 국회토론회에서 참석 환영사를 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이재명 경기도 지사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부동산 시장법 제정’ 국회토론회에서 참석 환영사를 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이재명 경기지사가 “재원 부족이 문제라면 차라리 전 국민께 차별없이 20만원을 지급할 수도 있다”라며 재난지원금 전국민 지급을 촉구했다. 80%에게 25만원씩 주는 정부안과 모두에게 20만원씩 지급하는 데는 같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 지사는 6일 부자가 죄인은 아니다. 세금은 더 많이 내는데 위기 상황에서 국가 지급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배제하는 것은 이중 차별”이라며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또 “(소득) 상위 20%의 재원 부담이 더 큰데, 하위 80%만 (재난지원금을) 받는 것은 공동체 원리에 어긋나는 불공정한 일”이라고 했다. 이어 “‘가진 자 주머니를 털어서 못 가진 자에게 준다’는 로빈후드식 정책은 정치인들에게 도덕적 만족감과 선전 효과를 줄지는 몰라도 중산층을 비롯한 사회구성원 다수의 증세 저항을 불러 복지 확대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제 효과에서도 전국민 지급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지난해 13조원 규모로 전 국민 보편지급이 된 1차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40조원에 이르는 2~4차 현금 선별지원보다 컸다는 것이 이미 통계로, 전 국민의 체감으로 확인됐다”며 “재난지원금은 가난한 사람 구제가 아니다. 소멸성 지역화폐를 통해 보편지급함으로써 코로나 거리두기에 따른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매출 확대로 방어하자는 것인데 굳이 선별을 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하위 80%와 81%의 차이를 어떻게 찾을 것이냐. 대상자 선별에 따르는 행정비용도 적지 않다”며 전국민 재난지원금의 장점을 강조했다. 그는 “정부 정책에 의해 마스크 착용과 모임 제한 등 전례 없는 불편을 감수한 국민께 위로를 드린다는 차원에서도 일부만 제외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