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600명대 급증…델타 변이 국내영향 촉각

중앙일보

입력

서울역 광장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관계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역 광장 중구임시선별검사소에서 관계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300명대까지 떨어졌으나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는 양상이다. 주말 효과가 사라진 데다, 전국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특히, 전 세계에 퍼지고 있는 인도발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도 확인되면서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616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324명보다 292명 많았다. 밤 시간대 확진자가 많이 늘지 않는 추세를 고려하면 600명대 중후반, 많으면 700명 안팎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주말·휴일 검사건수 감소 영향이 사라진 데다 대전 등 곳곳에서 다소 큰 규모의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확진자가 다시 늘어나는 양상이다.

특히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가 더 빨리, 더 넓게 퍼져 나가면서 가까스로 억누른 확산세가 언제든 다시 거세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근 1주(6.13∼19)간 국내에서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브라질, 인도 등 주요 4종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확진자는 총 261명이다. 이로써 국내 누적 변이 감염자는 2225명으로 늘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인도 유래 ‘델타 변이’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지난해 12월 이후 델타 변이는 국내에서 총 190건(명) 확인됐는데 주요 변이 4종만 놓고 보면 알파 변이(1886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더욱이 최근 1주간 발생한 델타 변이 감염자 35명 중 국내 감염 사례가 19명으로, 해외유입(16명)을 넘어섰다.

이상원 방대본역학조사분석단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델타형 변이는 빠른 속도로 전 세계적인 ‘우세형’으로 되어 가고 있다”면서 “더욱이 알파형보다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은 맞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유행 통제를 위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변이에 대한 최상의 대책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백신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