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김병준 사퇴, 국정 쇄신의 마지막 기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김병준 교육부총리가 취임 13일 만에 사퇴했다. 들끓는 여론을 뒤늦게나마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다행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전말을 되짚어보면 김 부총리의 사퇴가 끝이 아니다. 오히려 더 큰 화근의 시작일 수도,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김 부총리가 물러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논문 표절 의혹이다. 교육부총리로서 적절하지 않은 학자적 양식의 결여 때문이다. 그러나 여론을 격앙시킨 배경에는 김 부총리가 그동안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맡아 주도적으로 추진해온 이 정부의 소위 개혁정책들에 대한 반감이 깔려 있다. 부동산 정책 등에 대한 저항이자, '세금 폭탄' 발언 등에서 드러난 오만함에 대한 심판이다.

5.31 지방선거는 그것이 표출된 결과다. 그럼에도 이 정부는 민심에 반발하듯 김 부총리 등 측근 인사를 돌려막기로 전면에 배치하고 밀어붙여 왔다. 이번에도 김 부총리를 끝까지 감싸고 나섰던 것을 보면 자칫 보복이라도 하듯 김 부총리식 독선을 강화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래서 얻을 것이 무엇이겠는가.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만 재촉할 뿐이다. 그것은 이 정권은 물론 그 후유증을 몽땅 짊어져야 할 국민에게도 불행이다.

아직도 1년 반이란 짧지 않은 시간이 남았다. 얼마든지 박수를 받으며 물러나는 대통령이 될 수 있는 시간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무현 대통령이 눈과 귀를 좀 더 크게 열어야 한다. 여당 의원들이나 총리까지 사퇴 불가피론을 펴는데도 딴소리만 하는 비서진으로는 국민의 소리를 제대로 듣기 어렵다. 여기에 장관들까지 측근 인사들로 채운다면 더 큰일이다. 어차피 교육부총리나 외교.국방.법무부 장관 등 개각 요인이 생겼다. 폭넓게 여론을 반영해 국정을 쇄신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 열린우리당에서까지 반대하는 코드인사를 강행한다면 불행을 자초할 수밖에 없다.

특히 민심을 좀 더 심각하게 검토해 국정 운영에 반영해야 한다. 무조건 여론을 추종하는 것도 옳은 일은 아니지만 민심을 외면하고 독선과 아집을 보여서는 될 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