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앙 시평] KBS, 균형감각 갖춰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공영방송 KBS의 재원은 수신료와 광고 수입으로 구성된다. 수신료라는 안정적인 재원이 있기에 공영방송은 시청률 경쟁에 휘둘리지 않고 공익 중심의 방송을 할 수 있다. 수신료는 시청 여부와 상관없이 텔레비전 수상기를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내게 돼 있다.

설령 텔레비전을 비디오 화면용으로만 사용하더라도 TV 수신장치가 부착돼 있다면 수신료를 내야 한다. 그래서 KBS는 국민이 수신료와 시청료라는 두 단어를 구분해 주기를 원하고, 시청료라는 표현을 쓰는 사람에게는 애써 그 차이점을 설명한다.

그러나 KBS의 이런 희망과 달리 대부분의 국민은 수신료를 시청료로 간주하고 있다. 즉 KBS가 '광고를 하지 않는 대신 시청자들에게 받는 돈'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다. 시청자의 입장에서 보면 '광고를 하지 않는 KBS를 시청하는 대가로 지불하는 돈'이 바로 수신료인데, 이 말은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전액은 아니더라도 수신료의 대부분을 KBS가 사용하기 때문이다. 만약에 KBS를 민영화해 광고를 전면적으로 허용한다면 굳이 현재처럼 수신료를 낼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KBS의 희망과 달리 대부분의 국민에게는 수신료보다 시청료란 말이 더 가깝게 다가온다.

시청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KBS를 보지 않으면 시청료도 낼 필요가 없다는 심리가 깔려 있다. 그래서 '시청료를 거부한다'는 말은 'KBS를 결코 보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된다. KBS를 거부하는 이런 의지의 표현이 요즘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나라당은 수신료를 한전의 전기료 징수에서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고, KBS를 비판하는 많은 보수단체는 'KBS 시청료 거부' 캠페인에 나서고 있다.

역사는 되풀이되는가. 20년 전 KBS가 독재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하던 시절에 많은 시민이 나서 'KBS 시청료 거부' 운동을 벌였던 기억이 새롭다. 그때의 시민과 지금의 시민이 이념적으로는 다를지 몰라도 다 같이 세금을 내는 시민이라는 점은 마찬가지다. 또 한나라당의 KBS 비판에 정략적인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아무튼 한나라당은 다수 국민을 대표하는 원내 제1당이다.

국민을 주인으로 모시는 KBS라면 야당의 비판과 보수단체들의 시청료 거부 운동을 무조건 'KBS 음해' 내지 'KBS 때리기'로만 생각할 일이 아니다. 지난 며칠 KBS는 노조를 비롯해 회사 전체가 한나라당의 비판에 반발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KBS PD협회는 한나라당의 주장을 부각하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취재를 거부하는 결의문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언론사가 언론의 취재를 부정하는 믿기 어려운 일이 일어난 것이다. 정보원에 대한 접근을 봉쇄하는 이 조치야말로 '장님 제 눈 찌르기'식 행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KBS의 이러한 반발은 잘못된 것이다. KBS의 주인은 노조도, 경영진도 아니며 다양한 취향과 관점을 가진 국민이다. 공영방송 KBS는 국민의 이런 다양성을 어떻게 조율해 나가야 할지 늘 고민해야 한다. 결국 그 해결책은 공정성과 균형 감각이다. 이번 송두율씨 사건과 관련해 KBS의 잘못은 바로 이 균형 감각을 상실했다는 것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프로그램은 제작 의도에도 불구하고 국가 기간방송인 KBS가 또 다른 국가 핵심기구인 국가정보원의 발표보다 국가보안법 피의자의 주장에 더 기울었다는 의심을 받을 만했다. KBS더러 보수 편향의 방송을 하라는 주문이 아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보수적인 시청자들을 분노케 해서도 곤란하다. 만약 KBS PD협회의 결의문에 나타난 것처럼 개혁을 의도적으로 캠페인하려 든다면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이다. 국론 분열이 심각한 요즘, 생각과 의견이 다른 다양한 국민을 두루두루 배려하는 신중함과 균형 감각을 갖춘 '중도(中道)의 방송'이 아쉽다.

양승목 서울대 교수.언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