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액 과다투입 뇌손상은 병원 배상해야"

중앙일보

입력

수술 중 수액이 과다투입된 환자가 심장이 정지되면서 뇌손상을 입은 데 대해 병원측이 거액의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8부(안승국 부장판사)는 1일 턱골절 수술 후 심장이 정지되면서 뇌손상 및 사지마비 장애가 생긴 최모씨와 가족들이 S의료원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피고는 원고측에 4억 2천여만원을 지급하라"고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혈중 칼륨 수치가 높으면 심장이 정지하게 되는데도 피고 소속 의료진은 정상 수치를 보였던 원고에게 칼륨을 혼합한 수액을 과다 주사한 채 수술을 진행한 과실이 있으므로 이로 인해 장애를 얻게 된 원고에게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원고에게 투여된 칼륨의 양은 신장기능이 정상일 경우 대부분 배설되는 정도이고 오로지 수액 과다투입 때문에 심장이 정지됐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 피고의 책임을 40%로 제한한다"고 덧붙였다.

최씨는 2002년 12월 턱골절 치료차 입원한 뒤 4일간 정맥에 칼륨 수액을 주입받았으며 턱 수술 후 갑작스럽게 심정지가 발생, 응급치료로 위기를 넘겼지만 뇌를 다쳐 사지가 마비되고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장애가 생겼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